농생명과학&신기술

'스마트팜' 첨단장비 관리 잘해야

농촌진흥청, ‘스마트팜 블랙박스 시스템’ 고도화 꾸준한 연구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여름철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스마트팜 온실에 구축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를 철저히 관리할 것을 당부하고 관리 요령을 소개했다.

 

여름철 외부 온도가 30∼40℃도로 지속되면 온실 내부 온도는 외부보다 약 5℃도 이상 높아지며, 온실 내 설치된 센서나 제어용 컴퓨터 등은 구동 시 발생하는 열의 순환이 어려워 내구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스마트팜의 센서 장비 내구 온도 범위는 대부분 영하 40℃에서 영상 60℃로 세심한 온도 관리가 필요하다. 센서 장비는 직사광선을 피해 설치해야 온도 센서가 잘못된 값을 전송해 발생하는 개폐기나 차광막 등 구동기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휴작기에는 센서 장비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온실 내부의 온도‧습도‧이산화탄소‧pH‧EC 센서 등은 전원을 차단하고 분리해서 보관한다. 센서 데이터 수신과 구동기 제어에 쓰이는 A/D보드는 스위치와 릴레이 등에서 열이 발생하는 부품으로, 온실 내부가 40℃가 넘으면 외부 덮개를 열고 선풍기 등을 돌려 열기를 외부로 빼내는 것이 좋다.

 

제어용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그래픽카드, 메인보다 등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으로 이뤄져 있다. 여름철 외부 온도가 30∼40℃가 되면 컴퓨터 내부는 60℃ 이상까지 올라 갑자기 시스템이 멈출 수도 있다.

 

제어용 컴퓨터는 통풍이 잘 되고 30℃ 이하인 곳에 설치하며, 고온이 계속되면 덮개를 열고 선풍기로 내부 열기를 강제로 배출해야 시스템이 멈추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스마트팜 온실 내 센서와 개폐기 등의 작동을 ICT를 활용해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스마트팜 블랙박스 시스템’ 고도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팜 블랙박스 시스템은 스마트 온실 내 장비의 운용기록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에 고온으로 인한 기기의 이상 유무를 파악해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농촌진흥청 스마트팜개발과 성제훈 과장은 “국내 농업 생산액의 13%를 차지하는 시설원예산업에 스마트팜이 많이 보급될 수 있도록 관련 기술 개발에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건국대,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학의 뿌리로 삼아 성장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