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경】 변미순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교수 경상북도의 딸기!...“경북의 명품 딸기 수출 그 미래를 위해” 경상북도의 딸기는 2010년만 하더라도 전국 총생산량의 3%에 불과했지만 그 후 십여 년 동안 전국 총생산량의 9%를 차지할 정도로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딸기 수경재배는 불모지에 가까웠던 경북이 2010년에 고작 15 농가에 불과했는데 현재는 300여 농가로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2015년에는 경북의 딸기 수경재배 농가들이 전국 최초로 경북딸기수경재배연합회를 창립하여 회원수가 2024년 11월 현재 321명이며, 이들의 기술력, 생산력, 소득액은 급격하게 증가추세에 있다. 경북의 단위면적당 딸기 생산량은 2018년까지는 전국 평균값보다 낮았으나 2019년부터 전국 평균값보다 14~40% 높아 전국에서 1~3위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경북 딸기의 약진은 각 분야의 숨어있는 노력들의 결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상북도에서는 일찍이 딸기의 특성상 무병우량모주 보급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농림부의 딸기 우량묘 보급사업의 지원과 도비의 지원으로 경북 영천에 딸기 모주생산 전문시설을 완비하고 대구대학교와의 기술협력으로 매년 무병우량 모주 10
경북농업기술원(원장 신용습)에서는 5월 12일 농업인·교수·공무원들이 한자리에 모여 경상북도 지역의 수출특화작목을 경쟁력 있는 농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1차 중간평가회(딸기, 화훼)’를 개최했다. 경상북도 수출농업기술지원단은 경북지역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전략품목을 선정해 생산현장에서부터 유통·가공·소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여 농산품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에서는 지역 특화작목인 사과, 포도, 딸기, 복숭아, 화훼, 감 등 6개분야에 수출농업기술지원단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약 130명의 산학관연 전문가(대학교수, 수출업체, 전문농업인 등)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특화작목별 종합컨설팅을 하는 사업이다. 또한 사업단별 사업추진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중간평가는 현장에서 직접 지역 농업인들의 의견을 듣고 그 동안 현장 애로기술 해결, 우수사례 발굴 등에 대한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경북지역 특화작목의 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중간 진도관리 현장평가 대상인 딸기수출농업기술지원단(단장 변미순, 대구대학교 교수)은 영주시 딸기 재배농가(작은아씨네 딸기농원,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