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목재펠릿’ 오염물질 대량배출… 권장나선 산림청 당혹

황주홍 의원, 연탄보다 미세먼지 유발 20배 높은 ‘목재펠릿’ 신재생에너지에서 목재펠릿 제외해야”

목재펠릿오염물질 대량배출신재생에너지 권장나선 산림청 당혹

황주홍 의원, 연탄보다 미세먼지 유발 20배 높은 목재펠릿신재생에너지에서 목재펠릿 제외해야

"사회적 비용도 연탄보다 2.8배 높아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라고 국고 보조금까지 받으며 사용이 권장되고 있는 '목재 펠릿'이 연탄보다 초미세먼지를 스무 배나 더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재펠릿와 폐목재류로 만든 Bio-SRF는 같은 고체연료이지만 전혀 다른 제품이다, Bio-SRF유해물질에 오염된 목재로 만들어지지만 목재펠릿은 유해물질에 오염되지 않은 목재를 압축 성형하여 생산하는 작은 원통 모양의 표준화된 목질계 고체 바이오연료이다.

 

목재펠릿연탄보다 미세먼지 유발 20배 높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간사인 황주홍 의원(고흥·보성·장흥·강진)이 국립환경과학원 연구논문과 대기환경분야 국내 대표 학술지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에 올해 4월 발표된 <고체연료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특성 조사연구(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화학재난합동방제센터 환경팀)> 논문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같은 양을 연소 시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NOx)의 배출계수(허용기준치)는 목재펠릿(1.55g/)이 연탄(0.08g/)보다 약 20배 높게 나타났다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에서 햇빛을 받으면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2차 초미세먼지가 만들어진다질소산화물이 2차로 만들어지는 초미세먼지(PM2.5)는 사람에게 치명적이다. 

먼지의 경우배출시설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고시(국립환경과학원 제2015-9)에서 명시한 목재펠릿의 먼지 배출계수(허용기준치) 0.93g/kg에 비해 화목(火木 : 땔감으로 쓸 나무)은 약 15배인 13.54g/kg, 목재펠릿은 약 10배인 9.15g/kg으로 높게 나타났다.

 

목재펠릿 사회적 비용연탄보다 2.8배 높아

대기환경분야 국내 대표 학술지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에 올해 8월 발표된 <목재펠릿과 석탄의 단위 발열량에 따른 사회적 비용 비교 분석(강원대 산림경영학과 이영영김준순 교수논문에 따르면,

 

목재펠릿은 바이오매스의 한 종류로서 탄소중립원칙을 따르는 경우에 석탄보다 온실가스의 배출은 적지만 상황에 따라 그 외의 대기오염물질은 더 많이 배출되기도 한다(EC-European Commission, 2003).

 

그럼에도 불구하고 목재펠릿과 관련한 경제성 분석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감축기능만을 포함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문제를 모두 포함하여 목재펠릿의 사회적 경제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목재펠릿의 사회적 비용은 대표치 기준으로 석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무연탄(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는 연탄) 2.8유연탄의 7.6배이다.

 

연료별 사회적 비용은 수입 비용과 대기오염물질별 배출 비용의 합이다목재펠릿의 사회적 비용의 구성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CO(일산화탄소)의 배출 비용인데약 전체의75%이고, VOC(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 비용 13%, 수입 비용 9%, NOx(질소산화물)의 배출 비용 3%, PM(먼지)의 배출 비용 1%이다.

 

목재펠릿의 CO(일산화탄소) VOC(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비용은 석탄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왔고인체에 치명적인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NOx)의 배출 비용도 석탄보다 높게 나타났다.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 목재펠릿은 친환경에너지 아니다” 

올해 2월말 영국 왕립국제문제연구소(채텀하우스)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며 세계 각국이 보조금까지 쏟아 부으며 목재펠릿 이용을 장려하는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목재펠릿을 사용하기 위해 벌목하고 어린 나무를 심으면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채텀하우스는 전체적인 라이프 사이클에서 보면 나무를 때는 것이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새롭게 심은 나무가 베어서 때버린 나무에 비해 더 적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잊었다고 강조한다.

 

나무가 20년에서 100년간 자랐다는 것은 나무가 살고 있는 숲이 많은 탄소를 저장해왔다는 의미라며 목재펠릿을 만들기 위해 나무를 베어버리면 숲 환경에 큰 변화와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강조한다.

 

감사원 목재펠릿은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 기여도 떨어져

감사원도 2015년 한국전력 등에 시행한 감사를 통해 우드펠릿은 나무를 베어 만들어 풍력이나 태양광처럼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에 기여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석탄보다 열량이 낮고 수분이 많아 석탄보다 더 많은 양을 연소해야 하므로 온실가스 배출 감소에도 기여도가 떨어진다고도 지적했다.  

 

국민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신재생에너지 목재펠릿을 제외해야

 

황주홍 의원은 대기환경분야 국내 대표 학술지인 한국대기환경학회지에 올해 4월과 8월에 발표된 논문들을 보면,목재펠릿은 연탄보다 미세먼지 유발 20배 높고사회적 비용도 연탄보다 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매우 충격적인 연구결과들이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부 기조 속에 이산화탄소가 적다는 이유만으로 목재 펠릿이 신재생에너지라는 미명으로 포장되었다."고 지적한 뒤, “이제라도 목재 펠릿을 신재생에너지 범주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송파구청·송파소방서, 가락시장 싱크홀 안전사고발생 대응 종합훈련 가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지난 10월 31일 송파구청, 송파소방서 등 15개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2025년 송파구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및 긴급구조종합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전국적으로 실시되는 ‘안전한국훈련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도심지 싱크홀 발생 및 다중밀집시설 대형 화재 사고와 같은 대규모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하여 가락시장(가락몰 일원)에서 민관 합동으로 500여명이 훈련에 참여했다. 땅꺼짐 발생으로 도시가스관이 파열되고, 누출된 가스로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에서 공사 자위소방대가 초기대응을 위해 옥외소화전을 이용하여 진화를 시도하고, 대피 안내 방송에 따라 건물 내 유통인들과 입주자들을 대피시켰다. 이어서 화재 신고로 송파소방서가 출동하고 건물 내로 진입하여 진압과 동시에 부상자를 구조하는 등 구조·구급 활동을 전개했다. 화재 상황이 전파되어 대응 단계가 높아짐에 따라 송파구청과 화재현장에는 재난안전대책본부, 통합지원본부, 긴급구조통제단이 설치되는 등 유관기관들과 협업하여 신속하게 화재 진압과 구조·구급을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진행했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가락몰 1관에서 시작된 화재가 업무동으로 확산되는 과정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