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국립 축산과학원, 염소 개체식별시스템 특허출원…불법유통 막고 개량 가능할 듯

조영무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장, 국내 사육 염소 구분할 수 있는 방법 개발 내놔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국내 염소의 생산성을 높이고 안전한 유통 체계를 만들 수 있는 ‘염소 개체식별시스템’을 개발했다.


염소는 한의학에서 뇌를 차게 하고 피로와 추위를 물리치고 위장을 보호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고 알려져 보양식으로 애용돼 왔다. 참살이 식품에 대한 관심과 외식산업의 발전으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여기에는 수입육이 한목을 차지한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염소고기의 국내 생산량은 계속 줄고 있지만, 수입량은 점차 늘어 2012년에는 789톤을 들여왔다.


또, 염소 생산·가공물에 대한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불법유통을 완벽하게 통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현재 국내에서 기르는 염소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개체식별시스템을 개발하고,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이 시스템은 염소 유전체에 존재하는 초위성체 마커 분석으로 개체를 식별하는 방법이다.

 

같은 개체가 나타날 확률이 1.88×10-16에 달해 국내에서 사육 중인 25만여 마리를 각 개체별로 정확히 구별할 수 있다. 현재 염소사육 농가에서는 개체관리와 혈통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시스템을 적용하면 혈통정보를 바탕으로 계획교배를 할 수 있어 국내 염소의 성장, 도체, 번식형질 등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염소고기의 불법유통을 막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영무 가축유전자원센터장은 “한우, 돼지와 같이 염소 산업에서도 생산물 이력제나 부정유통 감시 체계를 구축할 연구가 필요하다.” 라며, “시스템을 적용하면 농가 소득을 높이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염소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전했다.


한편, 국립축산과학원은 염소의 불법유통을 막고 개량을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의 활용 방안을 위해 관련 협회, 농가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양돈농협, 창립 35주년 기념행사 성황리 개최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은 지난 14일 대전 유성구 호텔ICC에서 창립 35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조합원과 임직원, 내외빈 등 3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협동의 발자취를 되새기며 미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비전과 의지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1부 기념식과 2부 조합원 화합 행사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개회 및 내빈 소개에 이어 도드람의 35년 역사를 예술적으로 재해석한 샌드아트 공연이 펼쳐졌다. 공연은 협동으로 출발해 한돈 산업의 미래를 개척해 온 도드람의 여정을 서사적으로 표현해 큰 감동을 선사했다. 이어진 감사패 수여식에서는 오랜 기간 조합의 발전과 경제사업에 헌신한 조합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날의 하이라이트인 ‘비전 2030 선포식’에서는 중장기적으로 도드람이 나아갈 방향성을 공식 선언했다. 비전선포, 비전영상 상영, 퍼포먼스, 피날레 및 기념촬영으로 이어진 프로그램은 도드람이 전문식품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가치인 ‘협동·신뢰·혁신’을 상징적으로 담아냈다. 도드람은 이번 선포를 통해 ‘맛있는 문화로 만들어가는 더 건강한 행복’을 미션으로, ‘고객·조합원·임직원이 함께하는 전문식품 브랜드’를 비전으로 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