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 ‘자기 전 우유 섭취!’

'우유' 불면증에 도움 되는 것으로 밝혀져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수면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어긋난 생활습관과 바쁜 일상 속 현대인들에게 ‘잠들기’란 또 하나의 과제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불가피한 장마로 인한 높은 온도와 습도로 불면증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열대야에는 잠자리에 들기 쉽지 않은데, 실제로 불면증이 이어지면 깊게 잠이 들지 못할 뿐 아니라 낮 시간대까지 지속적인 무기력함과 피곤함을 느끼는 악순환을 겪게 된다.

 

이때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우유를 섭취하는 것이다. 우유 속 성분 중 하나인 트립토판은 심신을 안정시키는 호르몬 세로토닌에 영향을 준다. 또 사람의 기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잠들기 전 따뜻한 우유 한 잔은 몸의 긴장을 완화함과 동시에 편안함을 유도하여, 숙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와 관련해 WE클리닉 조애경 원장은 “따뜻한 우유는 내장 평활 근육을 이완시키고, 숙면에 필요한 멜라토닌 호르몬의 구성 요소가 되는 단백질 원료를 제공하므로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숙면에 도움을 주는 우유 속 성분으로 칼슘의 효과도 빼놓을 수 없다. 칼슘은 신경을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해, 우유에서 흡수된 칼슘이 혈액으로 들어오게 되면 일시적으로 신경 안정 효과를 준다. 이는 곧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직결된다.

 

이외에도 열대야의 불면증을 극복하기 위한 팁으로 매일 동일한 취침 및 기상 시간을 지킬 것, 쾌적한 수면 환경 조성, 취침 1~2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기, 규칙적인 운동하기, 술과 담배를 피하고 밤에는 카페인 식품 금지 등이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