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고려대학교와 과학전문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 공동으로 10월 27일과 29일, 고려대 SK미래관에서 ‘네이처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네이처 포럼은 네이처 편집위원과 세계적인 석학 등이 참석해 국제사회의 쟁점을 논의하며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이다. 올해 네이처 포럼은 고려대학교 옥용식 교수가 국내 유치에 성공하면서 지난 2월 초, 농촌진흥청과의 공동개최 협의를 거쳐 한국에서는 처음 열리게 됐다. 먼저 10월 27일에는 ‘지속가능한 폐기물 관리- 환경 중 플라스틱’이란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 열고, 농업환경 중 플라스틱 오염 개선을 위한 연구개발과 정책연계의 필요성에 따른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라운드 테이블에는 국내외 관련분야 석학들이 참석해 농업용 폐플라스틱 해결을 위한 국가미생물 전략, 플라스틱에 의한 농업환경 영향과 관리방안,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생분해 대사 등에 대해 주제발표를 한다. 네이처 측에서는 네이처 지속가능성(Nature Sustainability)의 편집위원장 모니카 콘테타빌레와 네이처 리뷰 지구환경 저널(Nature Review Earth & Environment)의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세계 최초로 ‘도담쌀’에 들어있는 저항전분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산업화하여 비만 및 당뇨 예방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밝혔다. 도담쌀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3년에 개발한 기능성 쌀 품종으로 저항전분 함량이 일반 쌀 대비 10배 이상 높다. 도담쌀 전분이 기존 일반 쌀과는 다른 구조의 국내 최초 C타입 저항전분으로 혈당지수가 낮은 건강소재임을 밝혀낸 이번 연구는 세계 식품과학 분야에서 권위 있는 저널(Food Hydrocolloids, 표준영향력지수 97)에 게재되어 학술적으로 인정받았다. 농촌진흥청은 고려대학교와 공동으로 도담쌀의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여 지방이 감소하고,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장내 유익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나아름 kenews.co.kr
[시/시/각/각]...'로컬푸드' 빠르게 확산시킬 조건은? 로컬푸드는 현재 한국의 농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로컬푸드를 일반제품과 비교해보면 유통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로컬푸드는 일반제품과 비교하면 유통과정이 복잡하지 않기에 유통하는 데에서 비용과 에너지가 적게 들어간다 . 또한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소비자는 일반제품보다 신선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푸드는 생산자 소비자에게 모두 이득이 되는 정책이다. 로컬푸드는 지역사회에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으로는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에너지 절약으로 인해 환경적 부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로 제품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상호 간 교류 협력증진을 통해 지역사회가 더욱 발전할 것이다. 문화적 영향은 로컬푸드와 체험관광을 연계한 산업이 생겨나면서 문화적 발전을 이룰 수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로컬푸드로 인해 중 소농들에게 새로운 판로가 생기면서 생산자들의 소득이 올라가고, 이는 곧 지역 내 소비가 늘어나 결국 지역 내에서의 경제효과는 배가 될 것이다.
올해 소비자들이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 할인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래시장에서 식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비중은 몇 년째 감소해 2019년에는 11.5%까지 하락했다(2018년 14.1%). 소비자들이 식품을 구입할 경우 2017년에는 ‘맛’과 ‘소포장’을 중시했다면, 2018년부터 2019년까지는 ‘가격’에 더욱 민감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6일 서울 aT센터에서 개최한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발표대회’에서 나왔다. 이날 KREI의 이계임 박사 연구팀은 2019년도 우리나라 가구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2019 식품소비행태조사(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CBSF)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3,337가구), 성인(6,176명) 및 청소년 가구원(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가구 및 개인의 식품소비 및 외식행태와 식생활 파악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가구에서 식품을 주로 구입하는 장소는 ‘대형 할인점(37.6%)’ 비중이 가장 높았고,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