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라인&핫뉴스

종자산업진흥센터 오픈…‘종자산업 메카’로 출발!

류갑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사장 “종자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

종자산업진흥센터 오픈종자산업 메카로 출발!

류갑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이사장 종자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에서는 2011년부터 진행하였던 민간육종연구단지(이하 단지) 조성사업을 올해 10월에 완료하고 1123일 전북 김제에 소재한 종자산업진흥센터에서 준공식을 개최하였다.

민간육종연구단지조성사업은 글로벌 종자를 개발하고 수출을 확대하여 종자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농림축산식품부의 핵심사업으로, 주요 지원내용은 육종단지를 조성하여 종자기업의 품종개발에 필요한 첨단시설제공, 육종기술지원 및 육종포장 등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재단은 2011년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민간육종연구단지 조성사업 시행기관으로 지정받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 일원 54.2ha 부지에 총 사업비 681억원으로 20개의 입주기업에게 연구동, 시험포장 등 연구시설을 제공하고 입주기업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공동시설로 종자산업진흥센터, 공동전시포, 전시온실 등을 조성하였다.

단지에는 수출시장 확대형 2, 수출시장 개척형 7, 역량강화형 7 16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20개 기업 입주 가능)이다. 현재 준공식 기준으로 대일바이오, 아시아종묘, 아름, 코레곤, 참농지기, 유니플랜텍과 부농종묘 등 7개 기업이 입주하였고, 농협종묘 등 9개 기업은 작물의 재배시기 등을 고려하여 내년 초까지 입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입주기업들은 입주하기 전부터 비닐하우스 건설, 장비도입, 육종 전문인력 채용 등 단지 입주에 필요한 준비를 마쳤으며, 향후 재단 종자산업진흥센터는 전라북도, 김제시와 함께 입주 기업이 글로벌 수준의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실시할 예정이다. 재단은 준공식에서 민간육종연구단지를 한국 종자산업의 메카로 만들기 위한 3단계 중장기 로드맵도 선포하였는데, 1단계 센터를 중심으로 농촌진흥청과 방사선육종연구센터로 연결되는 종자 삼각벨트를 구축하여 종자기업의 R&D의 혁신을 이끈다.

 

2단계는 종자 삼각벨트를 중심으로 전국 종자산업 관련기관, 사업단, 기술 서비스 기업 등을 광대역으로 연결하는 광역 종자 네트워크를 체계화한다. 3단계는 광역 종자 네트워크에 종자관련 전후방 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종자 클러스터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상 3단계의 로드맵이 성공리에 완성된다면 단지는 네덜란드의 씨드벨리, 미국의 실리콘벨리와 같이 대한민국 종자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단 류갑희 이사장은 민간육종연구단지의 준공과 종자산업진흥센터 오픈에 따라 재단과 센터는 정부 3.0개방, 공유, 소통, 협력의 정신에 따라 종자기업 뿐만 아니라 관계기관들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민간육종연구단지가 명실상부한 종자산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약속하겠다고 밝혔다. <김제=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