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감귤 '홍수출하' 막는다!...국내 육성품종 다양성에 매진!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명수 원장 "국내 감귤 산업계에서 우리 품종이 점차 경쟁력 갖춰"
- 윤수현 감귤연구소장 "다양한 우리 감귤 농가 소득 증대와 소비자 입맛까지 잡겠다"
- 11∼3월까지 수확기 다양하고, 맛‧개성 넘쳐...국내 육성 감귤 보급 1위 ‘하례조생’, 재배 면적 567ha 달성
- 2위 ‘윈터프린스’, 식감 부드럽고 먹기 편해 올해 130톤 출하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일본 도입 품종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국내 감귤 산업계에서 우리 품종이 점차 경쟁력을 갖춰가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감귤은 크게 온주밀감(비중 80%)과 만감류(비중 20%)로 나뉘는데, 96% 이상이 도입 품종이다.
특히, 재배 면적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도입 온주밀감 ‘궁천조생’과 ‘흥진조생’은 11월 중순~12월 상순 수확돼 홍수 출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확 시기를 분산하고, 도입 품종과 차별되는 다양한 감귤 품종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국산 온주밀감 품종 가운데는 우리나라 1호 감귤 ‘하례조생’의 활약이 돋보인다. ‘하례조생’은 기존 ‘궁천조생’보다 당도는 1브릭스(°Bx) 높고 신맛은 20% 정도 낮아 더 달고 덜 시다.

 


2004년 개발한 ‘하례조생’은 노지에서 11월 중순 수확할 수 있다. 2014년부터 재배 면적이 늘어 현재(2022년 기준) 국내 육성 품종 가운데 제일 넓은 567헥타르(ha)에서 재배되고 있다.

 

‘하례조생’은 해마다 3만 그루(30ha) 내외로 꾸준히 보급되고 있어 10년 후쯤에는 온주밀감 재배 면적의 10%인 1,400헥타르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례조생<사진>’에 이어 재배 면적이 두 번째로 넓은 ‘윈터프린스’는 시설에서 12월 상순에 수확하는 품종으로 기존 만감류보다 껍질 벗기기가 쉽다는 특성이 있다. 당도 12.5∼13.5브릭스, 산 함량은 1.0∼1.2%로, 식감이 부드럽고 향기를 풍기며 진한 단맛을 느낄 수 있다.

 


‘윈터프린스는’ 2019년 본격적으로 보급해 2022년 기준 58.7헥타르를 달성했고, 올해 130톤이 출하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지난해 12월 싱가포르에 1톤을 첫 시범 수출했고, 현지 구매상과 소비자의 반응이 좋아 올해는 양을 늘려 싱가포르에 수출할 예정이다.

이 외에도 매력 넘치는 국산 품종들이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11월부터 1월까지 수확하는(노지 기준) ‘미니향’은 탁구공 크기(30g)만큼 작다.

 

평균 당도 15브릭스, 산 함량 0.8% 내외로 단맛이 강해 신맛을 싫어하는 소비자에게 알맞다. 제주지역에서는 노지에서도 재배할 수 있어 온주밀감을 대신할 고소득 품종으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

 


12월 중순에 수확할 수 있는 ‘미래향’은 ‘황금향’을 개량한 품종으로, ‘황금향’보다 당도(12브릭스)는 1브릭스 더 높고 껍질이 잘 벗겨져 소비자가 선호한다. 가시가 없고 수확량이 10%가량 많아 재배하기도 쉽다.

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설날 차례상에는 ‘탐나는봉’과 ‘사라향’을 올릴 수 있다. 두 품종은 ‘한라봉’, ‘천혜향’을 대체할 수 있는 국산 품종으로 각각 당도가 1브릭스 더 높고 수확기는 10일가량 빠르다.

3월에 수확할 수 있는 ‘무봉’과 ‘옐로우볼’은 개성이 넘치는 품종이다. ‘무봉’ 과육은 플라보노이드 성분 중 하나인 나린진 함량(617mg/100g)이 일반 온주밀감(2.95mg/100g)보다 많이 함유돼 쌉싸름한 자몽 맛이 난다.

 

 

‘옐로우볼’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선보이는 껍질과 속살이 노란색을 띠는 품종으로 레몬보다 산 함량은 4% 낮지만, 레몬과 비슷한 식감과 맛을 자랑한다. 또 저장기간이 2∼3개월로 길어 한여름에도 처음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명수 원장은 “미래 감귤 산업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은 노지 감귤의 고품질화와 다양화, 건강 기능성, 수확기 확대, 기존 감귤과 차별화된 새로움 등이다.”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특성이 있는 품종을 지속해서 개발·보급해 농가 소득을 높이고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송미령 장관, “가락시장 공공성 높여야...경쟁으로 유통구조 개선할 것”
국회를 비롯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락시장 등 전국 공영도매시장들의 공공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는데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1월 12일(수) 밤 9시경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가락시장 야간경매장을 방문하여 배추, 무, 대파 등 주요 김장재료의 출하 상황과 도매가격 등을 점검하고, 도매법인 및 중도매인 등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조기에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올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김장성수기(11월 중순~12월 상순) 기간 공급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아청과 야간 경매장을 점검한 송장관은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으므로 출하자들에게 작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가락시장 도매법인에게도 산지 작황 및 소비 동향을 수시 모니터링하는 등 산지와 소비지 간 조정을 통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송미령 장관, “가락시장 공공성 높여야...경쟁으로 유통구조 개선할 것”
국회를 비롯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가락시장 등 전국 공영도매시장들의 공공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유통업체간 경쟁을 촉진시키는데 농산물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송미령 장관은 11월 12일(수) 밤 9시경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가락시장 야간경매장을 방문하여 배추, 무, 대파 등 주요 김장재료의 출하 상황과 도매가격 등을 점검하고, 도매법인 및 중도매인 등에게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대책이 조기에 성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하였다. 올 김장재료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여 10% 이상 낮은 수준이며, 주재료인 배추, 무 재배면적이 증가하여 김장성수기(11월 중순~12월 상순) 기간 공급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아청과 야간 경매장을 점검한 송장관은 가을철 잦은 비로 작황이 일부 부진한 상황에서 기온 하락 폭이 커질 경우 출하가 지연되는 등 수급 상황이 급변할 수 있으므로 출하자들에게 작황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고, 가락시장 도매법인에게도 산지 작황 및 소비 동향을 수시 모니터링하는 등 산지와 소비지 간 조정을 통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