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용산구와 관악구 소재 동물보호소에서 폐사한 세 마리의 고양이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H5N1형)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동물보호자를 포함한 시민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16년에도 고양이 두 마리에서 HPAI 확진 사례가 나온 적이 있으나,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포유류간 HPAI의 전파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현재까지 사람으로의 HPAI 전파 가능성은 낮으나, 포유류에서의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신종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지난 7월 12일 발표한 바 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 발표자료에 따르면, HPAI 발생 시설 내에서 채취한 사료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H5형) 항원이 검출되었으며, 해당 사료는 제조과정에서 위생 절차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간 대한수의사회는 현행 사료관리법 등 국내 사료관리 체계가 양축용 사료 위주로 되어 있어, 반려동물용 사료의 관리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필요함을 지적해 왔다.
특히 반려동물이 먹는 사료는 “사료(feed)가 아닌 식품(food)”으로 인식되면서 펫푸드(Petfood)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 “반려동물 사료안전법”을 제정하여 반려동물용 사료의 위생과 안전성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라도 반려동물용 사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체계가 조속히 마련되길 기원한다.
허주형 대한수의사회 회장은 “최근 HPAI 뿐만 아니라 SFTS 등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며 “막연한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잠재적 위험성을 인지하여 야생동물 접촉 시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감염병의 출현을 대비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수의사회는 이번 고양이 HPAI 발생과 관련하여 의심 동물 신고 등 정부의 방역조치에 적극 협력하고 있으며, 원헬스의 관점에서 동물과 사람의 건강을 모두 지키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