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우유자조금 "우유없는 식물성음료는 ‘음료’ 규정 명확히 해야"

-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우유와 대체음료, 영양학적 측면에서도 큰 차이

최근 식물성 대체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명칭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유가 포함되지 않은 음료는 우유 또는 밀크 대신 ‘음료’라고 명시해야 하지만, 상당수 커피 프랜차이즈에서는 여전히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음료를 오트 밀크, 아몬드 밀크 등으로 표기하여 혼란을 낳고 있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식물성 대체음료의 잘못된 표기가 시장을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실제 원유가 함유되지 않았다면 우유가 아닌 음료로 명확히 표시하여 안내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우유는 젖소가 만들어낸 유즙을 뜻하며 두유는 콩을 삶아 갈아서 만든 음료, 그 외에 식물성 대체음료는 견과류, 곡류로 만든 음료를 의미한다. 식물성 대체음료는 크게 아몬드음료, 귀리음료, 쌀음료 등으로 나뉘는데, 우유가 전혀 들어있지 않다.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르면, 원재료의 이름을 제품명에 사용할 시에는 해당 원재료를 제조나 가공에 사용해야 하며 최종 제품에 남아 있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우유와 대체음료에 올바른 명칭 표기가 중요한 이유는 두 식품이 영양 측면에서도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우유는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자연식품인 데 반해 대체음료는 식물에서 추출한 원액에 물을 섞고 영양소를 첨가하여 만든 혼합 식품이다.

 

또한 원유 100%로 만든 흰 우유는 제조사나 제품 종류별로 큰 차이 없이 일정한 수준의 영양 성분을 제공하는 반면, 두유나 식물성 대체음료는 콩, 아몬드, 귀리, 쌀 등 원재료나 브랜드, 제조사 등에 따라 제품에 함유된 영양 성분의 양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대학교에서 진행한 ‘우유와 두유류의 소비시장 추이 및 영양성분에 따른 효능 비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음료는 우유에 비해 단백질의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우유 단백질은 모든 필수아미노산이 충분히 포함된 완전 단백질이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리신, 메티오닌 등 제한아미노산이다.

 

우유와 식물성 대체음료의 칼슘 함량은 더 크게 차이난다. 100g 당 칼슘 함량이 우유 113mg, 두유 80mg, 쌀음료 6mg 정도로 식물성 대체음료의 칼슘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우유 200ml 한 잔에는 칼슘이 약 200mg 함유돼 있어 하루 권장섭취량의 30%를 보충할 수 있다. 또 우유 속 칼슘은 흡수율이 뛰어나고 체내 이용률도 높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칼슘이 부족한 두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두유 제품은 대다수가 칼슘을 첨가한다”며, “두유 등 식물성 대체음료는 적은 비타민‧무기질을 보완하기 위해 가공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우유는 살균‧균질화처리만 거쳐 천연식품에 가깝지만, 식물성 대체음료는 여러 단계의 가공과정을 거치며 식품첨가물이 추가된 가공식품이다. 따라서 제품 구입 시 영양 정보기반으로 꼼꼼하게 따져보고 선택하는 현명한 소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민단체 "민생쿠폰 사용처 '하나로마트' 포함 긴급 요청"
중요 농민단체인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호)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에 ‘하나로마트’를 포함하여, 농촌지역 체감효과 높여야 한다!는 긴급성명을 서둘러 발표했다. 성명서 전문이다. 정부는 제2차 추경편성을 통해 총 13조원 수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하 민생쿠폰)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과 같이 지역화폐 사용처를 준용하여 하나로마트가 제외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농촌지역 체감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민생쿠폰 사용처도 지역사랑상품권과 동일하게 적용하여, 농협 하나로마트에서의 민생쿠폰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연매출 30억원 초과업체의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다만, 행정안전부는 최근 ‘지역사랑상품권 운영지침’ 개정을 통해 마트‧슈퍼‧편의점 유형의 가맹점이 없는 면(面)단위 지역의 하나로마트에 한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이 가능하도록 완화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 농촌지역 하나로마트에서 사용이 제한되어 지침 개정의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고령화 및 인구감소로 상권이 위축되어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처가 많지 않은 농촌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민생쿠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