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우유자조금 "우유없는 식물성음료는 ‘음료’ 규정 명확히 해야"

-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우유와 대체음료, 영양학적 측면에서도 큰 차이

최근 식물성 대체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명칭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유가 포함되지 않은 음료는 우유 또는 밀크 대신 ‘음료’라고 명시해야 하지만, 상당수 커피 프랜차이즈에서는 여전히 우유가 들어가지 않은 음료를 오트 밀크, 아몬드 밀크 등으로 표기하여 혼란을 낳고 있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식물성 대체음료의 잘못된 표기가 시장을 크게 왜곡시키고 있다. 실제 원유가 함유되지 않았다면 우유가 아닌 음료로 명확히 표시하여 안내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우유는 젖소가 만들어낸 유즙을 뜻하며 두유는 콩을 삶아 갈아서 만든 음료, 그 외에 식물성 대체음료는 견과류, 곡류로 만든 음료를 의미한다. 식물성 대체음료는 크게 아몬드음료, 귀리음료, 쌀음료 등으로 나뉘는데, 우유가 전혀 들어있지 않다.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르면, 원재료의 이름을 제품명에 사용할 시에는 해당 원재료를 제조나 가공에 사용해야 하며 최종 제품에 남아 있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다.

 

 

우유와 대체음료에 올바른 명칭 표기가 중요한 이유는 두 식품이 영양 측면에서도 근본적인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우유는 원유를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한 자연식품인 데 반해 대체음료는 식물에서 추출한 원액에 물을 섞고 영양소를 첨가하여 만든 혼합 식품이다.

 

또한 원유 100%로 만든 흰 우유는 제조사나 제품 종류별로 큰 차이 없이 일정한 수준의 영양 성분을 제공하는 반면, 두유나 식물성 대체음료는 콩, 아몬드, 귀리, 쌀 등 원재료나 브랜드, 제조사 등에 따라 제품에 함유된 영양 성분의 양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공주대학교에서 진행한 ‘우유와 두유류의 소비시장 추이 및 영양성분에 따른 효능 비교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식물성 대체음료는 우유에 비해 단백질의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우유 단백질은 모든 필수아미노산이 충분히 포함된 완전 단백질이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리신, 메티오닌 등 제한아미노산이다.

 

우유와 식물성 대체음료의 칼슘 함량은 더 크게 차이난다. 100g 당 칼슘 함량이 우유 113mg, 두유 80mg, 쌀음료 6mg 정도로 식물성 대체음료의 칼슘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우유 200ml 한 잔에는 칼슘이 약 200mg 함유돼 있어 하루 권장섭취량의 30%를 보충할 수 있다. 또 우유 속 칼슘은 흡수율이 뛰어나고 체내 이용률도 높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팀은 보고서에서 “칼슘이 부족한 두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두유 제품은 대다수가 칼슘을 첨가한다”며, “두유 등 식물성 대체음료는 적은 비타민‧무기질을 보완하기 위해 가공과정에서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우유는 살균‧균질화처리만 거쳐 천연식품에 가깝지만, 식물성 대체음료는 여러 단계의 가공과정을 거치며 식품첨가물이 추가된 가공식품이다. 따라서 제품 구입 시 영양 정보기반으로 꼼꼼하게 따져보고 선택하는 현명한 소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우자조금 “소 한 마리가 지구를 살린다”
기후위기와 식량 불균형이 전 세계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한우산업은 생산의 영역을 넘어 지구 생태의 균형을 지키는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는 한우 명예홍보대사 이명규 상지대학교 스마트팜생명과학과 교수와 함께, 한우를 농업·환경·사회와 연결하는 ‘순환의 축’으로 조명하며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 한우 인식의 전환,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 만들어 한우는 오랜 세월 우리 민족의 삶과 함께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노동을 돕고, 생의 마지막에는 고기와 가죽, 비료로 인간에게 돌아왔다. 이 순환의 역사 속에서 한우는 사람과 사회, 환경을 잇는 생명 순환 체계의 일부였다.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시작은 ‘관점의 변화’에 있다. 한우를 생산 효율이나 가격 중심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사회가 맞물린 순환 구조의 핵심으로 인식해야한다. 관점이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고, 행동이 달라지면 산업의 가치와 방향이 달라진다. 결국 한우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결정짓는 출발점이다. ◆ 자원의 순환, 한우분뇨는 토양을 살리는 생태 자원 관점의 변화는 실천으로 이어진다. 그 첫걸음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