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2023년 한우고기 소비동향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모니터링은 ㈜아테나컴퍼니에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소비자 인식 조사 ▲소비 유통 Big Data 분석 ▲Trend Pick 분석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해 진행되었다. 먼저,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전국 25~6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인식의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3년 쇠고기 경험 활동 비중은 ’가족과의 외식(90.9%)‘ > ’친구 및 지인과의 외식‘(86.0%) > ’오프라인 육류 구매(83.6%)‘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비자는 육류 구입 시 전년 대비 ‘안전성(+2.5%p)’과 ‘신뢰성(+2.3%p)’을 중요 시 하는 비중이 상승한 반면, ‘가격(-3.4%p)’과 ‘원산지(-1.5%p)를 고려하는 비중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소고기는 ’한우고기(74.5%)‘로 타 소고기들에 대한 선호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인 반면, 한우는 지속적인 상승추세를 보였다. 한우고기 구입 장소는 대형할인점 정육코너(41.4%)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일반정육점(19.7%), 슈퍼
한우 소비촉진사업과 한우 교육조사 등 한우관련 사업들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올 한해 사업성과와 내년도 사업계획을 놓고 최근 농축산전문지들과의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이동활 위원장을 비롯해 김정일 부위원장(선정목장 대표), 김대중 부위원장, 이상혁 관리위원(뜨락농원 대표)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이 자리에서 이동활 위원장<사진>은 "내년에는 한우가격 안정을 위해 좀 더 다각적인 소비홍보와 함께 축산업 부정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또, 김대중 부위원장은 "현재 우리 농가들은 방역과 살처분 등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함에도 불구하고 주먹구구식으로 처리하다 보니 대책과 희망이 안보여 농가들 벼랑끝에 서 있는 심정이다"라고 하소연하며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농가들을 위해 정부가 책임지고 제대로 표준화 된 살처분 보상과 재입식 대책을 서둘러 달라"고 목소리 높여 호소하기도 했다. 기자간담회 자리에 함께한 김정일 부위원장과 이상혁 관리위원도 "현실적으로 높은 사료값과 송아지 가격 때문에 사실상 농가들이 생산비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면서 "효율성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한데, 농가들 교육 의지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는 한우 원료육 차액 지원 사업을 통해 한우 피자와 한우 버거 등이 출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한우자조금은 한우 수급안정 및 적체된 정육 부위의 소비촉진을 위해 ‘한우 정육 원료육 차액지원 사업’에 참여할 업체를 모집하였으며, 그 결과 12개 업체가 선정되어 올해 총 2,017톤의 한우 정육(목심, 앞다리, 사태, 우둔, 설도 등)이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최근 한우자조금 원료육 지원 사업에 선정된 A업체에서 이 사업을 통해 한우 언양 불고기피자를 출시하였으며, 하반기에는 또 다른 B업체에서 한우 패티를 활용한 버거를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다. 한우 원료육 차액지원 사업은 급식·가공업체 중 올해 한우를 신규로 사용하거나, 최근 3년(’20~22년) 연평균 사용량 대비 한우를 추가로 사용한 업체를 대상으로 kg당 4,000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동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한우자조금은 앞으로도 대형급식·가공업체와 지속적으로 협업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한우를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비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2022년 한우고기 소비동향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모니터링은 ㈜피앰아이에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인식 기반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제 백화점, 마트, 슈퍼, 온라인상에서 거래되고 있는 연간 유통 거래 데이터 및 미래 지향적 트렌드 기반의 데이터를 추가 수집 및 분석하였다. 모니터링은 ▲소비자 인식 조사 ▲소비 유통 Big Data 분석 ▲Trend Pick 분석 등 3개 영역으로 구분해 진행되었다. 먼저 올해 1월부터 2월까지 전국 25~69세 성인 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 인식의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22년 쇠고기 경험 활동 비중은 ’친구 및 지인과의 외식‘(84.2%) ’가족과의 외식(80.6%)‘ ’배달음식 주문 및 취식(79.5%)‘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비자는 육류 구입 시 전년 대비 ‘맛(+3.9%p)’과 ‘원산지(+2.5%p)’에 대한 중요도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도가 높은 쇠고기 또한 ‘한우고기(+15.0%p)’로 나타났는데, 한우고기 선호 이유로는 ‘맛’, ‘안전성’, ‘영양(건강)’ 순으로 조사되었다. 한우고기 구입 장소는 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