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농가 "정부가 제대로 된 살처분 보상과 재입식 대책 서둘러 달라!" 호소

-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기자간담회...이동활 위원장,김정일 부위원장, 김대중 부위원장, 이상혁 관리위원 함께 자리
- 이동활 위원장 "내년에는 한우가격 안정을 위해 좀 더 다각적인 소비홍보와 함께 사업 다양하게 전개해 나갈 것"
- "살처분 피해를 당한 농가들 이대로 방치해 두다간 현장에서 안 좋은 일 일어날 상황" 심각한 현장 분위기 전달하기도

 

한우 소비촉진사업과 한우 교육조사 등 한우관련 사업들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는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올 한해 사업성과와 내년도 사업계획을 놓고 최근 농축산전문지들과의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이동활 위원장을 비롯해 김정일 부위원장(선정목장 대표), 김대중 부위원장, 이상혁 관리위원(뜨락농원 대표)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이 자리에서 이동활 위원장<사진>은 "내년에는 한우가격 안정을 위해 좀 더 다각적인 소비홍보와 함께 축산업 부정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또, 김대중 부위원장은 "현재 우리 농가들은 방역과 살처분 등 정부 정책에 적극 참여함에도 불구하고 주먹구구식으로 처리하다 보니 대책과 희망이 안보여 농가들 벼랑끝에 서 있는 심정이다"라고 하소연하며 "큰 피해를 보고 있는 농가들을 위해 정부가 책임지고 제대로 표준화 된 살처분 보상과 재입식 대책을 서둘러 달라"고 목소리 높여 호소하기도 했다.

 

기자간담회 자리에 함께한 김정일 부위원장과 이상혁 관리위원도 "현실적으로 높은 사료값과 송아지 가격 때문에 사실상 농가들이 생산비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면서 "효율성을 높이는 교육이 중요한데, 농가들 교육 의지와 호응이 떨어져, 함께 동참할 수 있는 기회들을 만들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한우산업과 관련해서 내년에도 풀어야 할 숙제들이 쌓여 있다. 2024년에 전개될 주요 내용을 간추려 살펴봤다.<편집자 말>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는 내년 2024년 한우자조금 중요사업으로 '한우가격 안정'에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제 불황과 소비 트렌드 변화 대응 한우 소비 홍보 다각화, 축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강화, 한우 균형 소비를 위한 맞춤형 홍보로 한우 소비 활성화, 유통경로 및 소비판로 다양화를 통한 한우가격 안정 도모, 지속가능 하고 체계적인 교육사업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우고기 소비홍보를 위해 건강, 영양, 환경기여도 등 한우가치 재규명을 통한 가치소비 인식 확산과 MZ세대 타겟에 맞는 디지털 콘텐츠 개발 및 소통 강화, 한우 부위별 활용법 및 레시피 개발·보급, 소비자 접점 강화를 위한 홍보 채널 다양화 및 긍정적 이미지를 높이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유통구조 혁신을 위해 한우 수출 신규시장 개척을 통한 시장 다변화와 수출 물량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교육과 정보제공을 위해서 시의성 있는 한우자조금 사업정보 전달체계 마련 및 농가 이해도 제고 강화, 농가교육 확대를 통한 지식 공유 및 일체감 조성, 소비자교육 강화를 통한 인식개선을 준비중이다.

 

 

조사연구사업을 위해 한우고기 건강 개선 효과 규명을 통한 소비자 인식전환 유도와 축산물 모방식품 대응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강화, 사료성분 조사 확대를 통한 시장 감시 기능 확대, 한우산업 관련 정책·제도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적시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수급안정을 위해서는 소비 트렌드와 수급상황에 따른 온·오프라인 소비촉진 사업을 통한 한우 소비활성화 도모, 지속적·선제적 수급관리를 통한 한우산업 및 가격 안정도모, 다양한 소비판로 개척을 통한 안정적인 한우소비 기반 확보, 한우육포 등 한우 가공식품 소비 저변 확대 등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의 2024년 한우산업 번영계획에 거는 기대가 크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인천 APEC 장관회의... ‘K-푸드’ 경쟁력 알리는 기회!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025 APEC 식량안보장관회의(FSMM)’와 연계해 4일부터 10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농식품 홍보관’을 운영하며 K-푸드의 우수성과 브랜드 가치를 집중 홍보한다. aT는 이번 회의에 각국 농업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고위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하는 만큼, 농식품 홍보관을 통해 K-푸드의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소개해 수출 확대 계기를 마련할 방침이다. ‘수출농식품관’에서는 라면, 냉동김밥, 떡볶이 등 주요 수출 품목과 함께 간편 비빔밥, 식혜 등 유망 가공식품, 딸기·파프리카 등 신선 농산물을 전시해 우리 농식품의 품질과 다양성을 소개한다. 아울러 ‘전통식품관’에서는 장류, 전통차, 전통주 등 대한민국 식품명인이 만든 우수 제품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도자기, 소반, 한지 소품 등 전통 소재를 함께 배치해, 한국 고유의 식문화와 미감을 한눈에 체험할 수 있도록 연출했다. 이 밖에도, 파우치형 배음료와 식혜 등 수출 유망 음료 시음 기회를 제공하고, 떡과 약과 등 한식 디저트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해 현장에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홍보관을 찾은 한 외국 고위급 관계자는 “K-푸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