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소리 들은 토마토’ 신선도 연장 과학적 구명

음파처리 토마토 전사체 분석, 유전자 발현 조절로 형질 개선 가능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1kHz 단일음파가 처리된 토마토의 전사체 분석을 완료해 음파 처리된 토마토의 숙기가 지연되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2015년 수확 후 토마토에 특정음역대의 단일음파를 처리하면 30%∼40% 숙성을 늦추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한, 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물호르몬 ‘에틸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핵심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것도 확인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 특정음파 처리된 토마토의 전사체를 분석해 에틸렌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고 세포벽 형성 관련 유전자 발현은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에틸렌 발생량이 줄면서 열매의 물러짐이나 익는 속도가 늦어지고, 세포벽 형성은 활발해져 겉이 단단하게 유지돼 토마토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었다.

 

농촌진흥청은 이와 함께 음파처리한 새싹채소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이 늘어났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으며,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분석해 SCI논문(Plant Biotechnol Rep., 2017. 10.)에 게재했다. 또한, 음파처리한 새싹채소에서 비타민 C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증가 결과는 특허출원이 완료됐으며,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해 수확 후 농산물 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소재공학과 정미정 농업연구관은 “음파처리는 필요한 시점에, 필요한 유전자만 선택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기술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 기술이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