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한국농업기술진흥원, '미활용 특허기술' 무료나눔 눈길

- 바이오분야 공공기관 미활용 특허 스타트업 기업에 무상이전...(주)휴밀, 크로마흐(주) 등 17개 업체 희
- 무상 기술이전특허?...미강 안정화 방법,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기능성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15일 국내기업의 농업기술 경쟁력 강화와 기술사업화 확산을 위하여 자체 보유한 미활용 특허 3건을 국내 기업에 무상으로 양도했다.

 

‘특허 무료나눔’은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미활용 특허를 국내 기업에게 무상 이전하는 것으로, 공공기술거래기관인 농진원도 자체 보유 특허를 민간으로 이전하는데 발 벗고 나선 것이다.

 

농진원은 기획재정부의 ‘민간-공공기관 협력 미활용 특허 무료 나눔’ 사업에 동참하고자 내부 직무발명으로 보유하고 있던 특허기술을 지난 해 11월에 무상으로 이전하는 공고를 낸 바 있다.

 

이번 나눔 대상 기술은 △미강 안정화 방법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기능성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으로 바이오분야 특허 3건이다.

 

그 중 기능성 식품 기술 2건은 주식회사 휴밀(이하 휴밀)에게 이전된다.

휴밀은 액상화 과정을 생략한 초단축 공법으로 식물성 밀크파우더를 생산하는 푸드테크 스타트업이다.

 

휴밀의 김경환 대표는 “미강 안정화 기술을 적용하여 자사의 식물성 대체식품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킨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기대감을 내보였다.

화장료 관련 기술을 나눔받는 크로마흐(주)(이하 크로마흐)는 분자생물학(나노셀룰로오스) 기술을 적용한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을 생산하는 헬스케어 전문기업이다.

 

크로마흐 이동환 대표는 “자사 특허에 나눔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한편, 농진원은 지난해 기술 나눔 공고와 함께 개최한 ‘기술나눔 설명회’에서 총 17업체가 참여하였고, 총 20업체가 기술나눔을 신청하면서 바이오 분야 기술나눔에 대한 농산업체의 높은 수요와 관심을 확인했다.

 

농진원은 향후에도 농산업 분야의 다양한 기관, 기업, 대학의 미활용 특허기술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민간기업이 사업화에 활용하도록 나눔형태의 기술이전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이번에 선정된 2업체를 포함하여 기술나눔 후에 민간기업이 사업화에 성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사업도 연계할 예정이다.

 

농진원 구본근 부원장은 “이번 기술나눔을 통하여 미활용 기술의 활용성을 높이고, 나아가 농산업체의 기술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라며, “앞으로도 농산업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술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스마트팜 산업 이끌 재직자 교육생 모집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스마트팜 관련 기업에 재직 중인 인력의 정보통신기술(ICT)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 교육과정을 오는 5월부터 본격 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교육은 스마트농업 기술 발전과 산업 구조 고도화에 따라, 현장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전형 역량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자율주행 농기계 등 첨단 기술이 농업 현장에 도입됨에 따라, 이 같은 기술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교육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며, (사)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와 협력해 스마트팜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추진된다. 오는 11월까지 온라인 이론수업과 현장 실습교육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스마트팜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다. 교육 과정은 총 9개 세부과정으로 구성된다. ‘스마트농업 글로벌 리더 양성’과정을 비롯해 ‘스마트팜 및 수직농장 기술 활용’, ‘데이터 분석’, ‘노지 스마트팜과 인공지능(AI) 적용’, ‘스마트축산’, ‘공공조달시장 개척’ 등 다양한 전문 주제를 아우른다. 또한, 해외 박람회와 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