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자조금, 온라인 '한우장터' 역대 최고매출 눈길 끌어

- 7개 브랜드 참여, 단 5일간 13억 9천만원 판매... 지난 명절대비 167% 매출 증가
- 2014년부터 비대면 소비증가 트렌드에 온라인 판매 자리매김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가 2022년 설을 맞아 개최한 ‘설맞이 온라인 명절한우장터’가 13억 9천만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황리에 종료됐다.

한우자조금은 이번 온라인 명절한우장터가 작년 설 5억 2천만원 매출 대비 167% 증가,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한 비결로 정기적인 행사 개최와 트렌드에 맞는 다양한 홍보 전략, 인기 품목 공급량 확보를 위한 업체수 확대 등을 꼽았다. 

 


매년 청계광장에서 직거래장터를 열어오다 코로나19로 개최의 어려움을 겪으면서 워크스루 판매, 라이브커머스, 온라인몰 운영 등 다양한 진행 사례를 통해 온라인 판매로 자리를 잡았다. 

 

최근의 비대면 소비 확대 경향에 맞춰 유튜버와 브랜디드 콘텐츠를 제작하는 등 트렌드에 맞는 홍보 활동으로 소비자들이 먼저 찾는 행사가 되었고, 올해는 한우 공급량을 확보하기 위해 작년보다 참여업체수를 확대해 물량 부족의 민원을 해결한 것도 역대급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

1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 동안 진행된 설맞이 온라인 명절한우장터는 녹색한우(전남), 늘푸름한우(강원), 서경한우(경기), 안동비프(경북), 우리한우(경북), 장수한우(전북), 토바우(충남) 등 전국 총 7개 업체가 등심, 안심, 채끝 등 구이류와 불고기, 양지, 사태 등 국거리를 최대 49%까지 할인 판매했다. 서울 청계광장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했던 명절한우장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작년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있다.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은 “13억원이 넘게 팔릴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우리 한우를 찾게 되어 기쁘고 동시에 명절한우장터의 인기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것 같아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꾸준한 명절한우장터 개최와 트렌드에 맞는 홍보활동으로 한우 소비촉진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우자조금은 올해 온라인 장터 구매를 활성화하기 위해 유명 유튜버 밥굽남과 함께 홍보에 나섰다. 밥굽남이 실제 명절한우장터에서 판매 중인 한우를 조리하고 맛보는 영상은 조회수 14만회를 기록하며 한우를 향한 뜨거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