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전국 평균 압도적 성적... 1.2톤 슈퍼한우 탄생

운상농장, 전국 거세우 평균 도체중 446Kg보다 약 80Kg  탁월한 성적
뉴트리나사료 "비육우 전문농장에서 탄생된 1.2톤 슈퍼한우는 사양관리부터 시작"
30.5개월령, 근내지방도 NO9, 등심단면적 147cm2
생체중 1,196Kg, 도체중 735Kg, 61.4%의 높은 지육율은 최적의 사양관리

경북 안동 운상농장(대표 임희종/사진)에서 1.2Ton에 달하는 ‘슈퍼한우’가 탄생했다. 최근 한우개량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슈퍼한우의 등장소식은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운상농장의 경우는 다르다. 한우개량이 최우선으로 이뤄지는 번식농가가 아닌 비육우 전문농가에서 나왔으며, 출하월령은 30.5개월령으로 농장 입식 후 약 23개월만에 거둔 성과이기 때문이다.

비육우 전문농장에서 이 같은 슈퍼한우를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우시장에서의 우량 송아지 구입도 한 역할이라 볼 수 있으나, 최적의 동물영양과 사양관리 등 기본에 충실한 운상농장의 초심이 큰 역할을 했다.

 


운상농장의 슈퍼한우 생체중은 1,196Kg, 도체중 735Kg로 61.4%의 높은 지육율을 보여주었고, 근내지방도 NO9, 등심단면적 147cm2을 기록하였다. 우리나라 거세우 평균도체중 446Kg와 비교했을 때 약 1.5배에 가까운 성적이다.

운상농장의 올해 하반기 49두 출하 평균 성적도 압권이다. 전국평균을 훌쩍 뛰어넘는 건 물론, 뉴트리나사료((대표 박용순) 모든 관리농가 중 최상위권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출하 평균 1++출현율 46.9%(1+이상 83.7%), 도체중 525Kg, 출하월령 30.4개월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우리나라 거세우 평균 도체중(446Kg)보다 약 80Kg 차이가 나는 탁월한 성적이다.

운상농장 임희종 대표는 “시장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힘든 환경일수록 가장 기본에 충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앞으로도 축산농가분들에게 힘든 사업환경이 계속되겠지만, 다같이 더 높은 목표를 향해 계속해서 도전해 나가기를 기원한다. 운상농장은 앞으로 평균도체중 550Kg, 1++출현율 80%의 목표를 향해 힘차게 전진하겠다.”고 다짐하였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