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황주홍 의원, 시중유통 닭고기서 구충제 기준치 6배 초과검출

식약처, 4월 실시된 ‘유통 닭고기 와 계란 잔류물질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 나와

황주홍 의원, 시중유통 닭고기서 구충제 기준치 6배 초과검출

식약처, 4월 실시된 유통 닭고기 와 계란 잔류물질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 나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살충제 계란 문제에 이어 닭고기에서 기준치의 6배에 달하는 구충제가 나왔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황주홍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22일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421일부터 522일까지 실시된 유통 닭고기 및 계란 잔류물질(살충제) 검사결과에서 닭고기는 총 60건의 검사 중 2건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해당 검사는 각 지방청(서울, 부산, 경인,대구, 광주, 대전)별로 닭고기, 계란 각 10건씩 총 120건의 검사가 421일부터522일까지 진행됐다. 검사항목은 진드기 구제용 살충제 27종을 포함해 닭고기 88, 계란 27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번에 부적합 수치가 나온 톨트라주릴은 유해물질 중 동물용 의약품으로 분류되며 닭에 구충제로 사용된다.

황 의원은 살충제 계란 문제에 이어 과거 시중에 유통된 닭고기에서 기준치의 6배에 달하는 구충제 성분이 나온 것은 정부가 국민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어떻게 제공할지 고민하게 하는 부분이라고 밝히며, “정부부처는 이번 살충제 계란 문제를 조속히 해결함과 동시에 농식품, 축산물 등 전반에 걸친 유해물질 허용 안전기준을 다시 한 번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