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한국식품연구원, 신선식품 친환경 저온유통시스템 상용화

권기현 한식연 박사, 차세대 통합형 저에너지 저온유통시스템 개발

한국식품연구원, 신선식품 친환경 저온유통시스템 상용화

권기현 한식연 박사, 차세대 통합형 저에너지 저온유통시스템 개발

 

한국식품연구원(원장 박용곤) 스마트유통시스템 권기현 박사<사진> 연구팀은 신선식품의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를 위한 저에너지 수배송 컨테이너를 개발하여 친환경 저온유통시스템을 상용화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를 통해 국내 신선식품의 품질 저하 없는 장기간 수배송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선식품은 대부분 저온유통이 필요하지만, 국내 신선식품 유통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저온유통시스템은 우유와 식육 등 일부 식품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과채류 등의 대다수 신선식품이 유통과정에서 품질열화와 안전성 훼손이 빈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신선식품 수송용 재활용 에너지인 PCM(phase change material) 및 지속형 에너지인 열전소자 기술을 융합하여 차세대 통합형 저에너지 수배송 컨테이너를 자체 개발하여 국내 신선식품의 저온유통시스템 상용화가 가능하게 하였다.

 

연구팀은 PCM 및 열전소자 소재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융합한 차세대 통합시스템을 개발하여 2건의 특허등록과 1건의 기술이전을 완료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해 식품에 적용하여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팀이 개발한 수배송 시스템은 10일 이상 장기간 수배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소고기의 경우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EPS 박스에 비해 유통 중의 품질을 5일 이상 오래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저장 수송 용기의 온도 조절 방법(특허 제 10-1608057)’높은 엔탈피를 갖는 잠열재 조성물(0)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 제 10-1589907)’에 대한 2건의 특허를 등록하였고, 1건의 기술이전을 실시하였다. 또한 열전소자 장치 및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소고기의 저장 중 품질특성‘PCM을 장착한 열전소자 냉각시스템의 저장 중 피망의 품질 평가등 다수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현재 연구팀은 개발한 차세대 수배송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다양한 신선식품을 대상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저온유통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수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신선도 연장과 저온유통환경 제어시스템 개발 등의 후속 연구에 개발된 기술을 우선적으로 적용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권기현 박사는 국내의 신선식품 유통환경에 적합한 저비용 고효율 에너지 공정을 적용하여 산지에서부터 소비자까지 품질과 안전이 보장되는 저온 유통시스템 구축을 위해 이번 개발된 기술이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또한 저에너지 저온유통시스템은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이며, 지구환경보전이라는 최근의 소비자 관심 충족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신선식품에 대한 고품질 및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소비자 신뢰를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며 신선식품별 저온유통시스템 확립을 위한 후속 연구개발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박수진 기획조정실장, 양파 주산지에서 ‘농업수입안정보험’ 중요성 강조
박수진 농림축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은 10월 16일 양파 주산지인 무안을 방문하여 농업수입안정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농업수입안정보험은 자연재해, 화재 등으로 인한 수확량 감소와 시장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보험 가입연도 수입(收入)이 과거 평균 수입(收入)의 일정 수준 미만으로 감소하는 경우, 감소분 전액을 보상하는 제도이다. 2015년 도입하여 시범 운영해 오다 2025년부터 전국 대상으로 본격 운영에 착수하였다. 총 15개 품목에 대해 운영하며, 콩, 마늘, 양파, 보리 등 9개 품목은 전국 대상으로, 벼, 봄감자, 가을배추 등 6개 품목은 일부 주산지 중심으로 시범 운영 중이다. 15개 품목 18개 상품 중 현재까지 12개 상품이 판매 완료되었으며, 10~11월 중 양파, 마늘, 보리 등을 포함한 6개 상품이 판매될 예정이다. 박수진 기획조정실장은 현장에서 양파 생산자단체 등을 만나 “양파, 마늘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의 경우 농업수입안정보험이 매우 효과적인 경영안정장치가 될 수 있으며, 11월까지 양파, 마늘 등 6개 품목의 가입기간이 진행되므로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보다 많은 농업인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게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