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소장에게 듣는다!

산림생산기술연구소 미션?…‘경제림 육성과 효율적인 산림생산관리 임목시스템 개발’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소장에게 듣는다!

산림생산기술연구소 미션?경제림 육성과 효율적인 산림생산관리 임목시스템 개발

 

무더운 여름으로 들어서면서 산과 계곡이 그리워지는 철이 왔다. 국내외 어느 곳에 내 놓아도 손색이 없는 광릉수목원 인근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남성현) 산하 산림생산기술연구소를 둘러보는 귀한 시간을 가졌다.

산중호걸, 깊은 산속에 위치한 산림 기관임이라는 것이 실감이라도 나는 듯 이곳 성주한 소장이 맨발(?)로 뛰쳐나와 반갑게 맞이해 준다. 이곳 얘기를 들어봤다.<편집자>

 

-소장님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곳 산림생산기술연구소의 연구 실적과 실용화 사례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들어 보고 싶다?

성 주한 소장= , 반갑습니다. 우리 연구소는 현장 소통을 통해 산림생산기술분야인 양묘사업과 조림사업, 숲가꾸기사업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목재 수확작업시스템사업과 임도사업, 임업기계화사업 등 연구실용화와 함께 현장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해 나가고 있다.

 

-보고서를 살펴보니 산림생산기술연구소는 중요성과 역할에 비해 예산 사업비중이 낮다는 느낌이 든다?

성 소장= 잘 봤다. 우리 산림생산기술연구소의 2015년 연구 성과와 2016년 주요 연구추진계획들도 인력과 예산규모에 비하면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현장 중심의 산림생산기술분야 연구의 발전을 위한 현안사항 해결과 산림생산기술연구소의 역할 강화를 위해서는 향후 연차적으로 예산과 인력규모를 늘려주는 것이 검토돼 할 것이다.

 

-산림생산기술연구소가 중점으로 내세우고 있는 미션들은 무엇인가?

성 소장= 앞으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는 산림자원 육성과 효율적 임목 생산을 위한 현장 중심의 임업기술 개발이란 기관 미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산림자원의 경제적인 가치 증진을 위해서는 산림자원 조성기술 개발과 숲가꾸기 품질 강화를 위한 현장 중심의 기술 개발이 있다. , 사유림경영 활성화를 위한 수확기술 작업시스템 개발, 산림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계화 핵심기술 개발, 경제림 단지 내 경영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 등 5가지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전략을 중요 과제로 풀어 나가고 있다.

 

-고부가가치 산림자원 육성에 대해서는 연구소에서 어떤 역할들을 하고 있는가?

성 소장= 현장 중심의 자원조성기술을 고도화시키기 위해 산림용 묘목의 저온저장기술을 개발해 일선 현장에 보급시키고 있다.

경제림 육성을 위한 숲가꾸기 사업을 위해 지역별로 지상부와 지하부 탄소동태를 분석해 간벌 강도를 과학적으로 조절해 나가고 있으며 한국형 친환경 벌채기술도 개발해 벌채 유형별로 천연갱신 치수발생 메커니즘 분석 작업도 수행하고 있다.

 

-현장 최 일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산림생산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 연구소에서 개발된 연구성과의 신속한 현장보급도 중요하다고 본다?

성 소장= 그렇다. 옳은 얘기이다. 효율적인 목재생산기술로 경제적인 목재 생산과 산림이 경제림으로 거듭 주목받을 수 있도록 주어진 여건속에서 혼심의 힘을 다해 연구소의 소임을 다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우리 연구소에서는 산림의 과학적인 관리기술이 현장에 효율적으로 접목되도록 항상 일선 현장과 함께해 나갈 것이다. 감사합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