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돈데이 '팝업스토어'...1만 5천여 명 관람 대성황!

- 10월 1일부터 9일까지 열린 2024 한돈데이 팝업스토어에 약 1만 5천여 명 관람객 방문
- MZ핫플 성수에서 팝업스토어 첫 운영...한돈만의 트렌디함으로 소비자 사로잡아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가 한돈데이를 맞아 성수에서 선보인 2024 한돈데이 팝업스토어를 지난 9일 성황리에 마무리하며, 9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한돈데이(10월 1일)은 돼지코 모양(1001)을 연상시키는 한돈의 대표 기념일이다. 2014년을 시작으로 올해로 11회를 맞은 한돈데이는 매년 우리돼지 한돈의 가치와 매력을 더 많은 소비자들에게 알리 계기가 되고 있다.

올해는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서울 성수동 소재 XYZ SEOUL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진 대규모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며 한돈의 색다른 모습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행사는 성수동의 주요 방문층인 MZ세대를 포함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소비자와 외국인에게까지 한돈의 우수성을 알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이번 2024 한돈데이 팝업스토어에는 9일간 약 1만 5천여 명의 방문객이 몰리며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모았다. 실제로 팝업스토어가 운영되는 동안 블로그 및 SNS, 커뮤니티 등에서 수많은 후기 글이 올라왔으며, 입소문 덕분에 오픈 시간 전부터 약 400여 명 이상의 대기 행렬이 이어지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한돈 팝업스토어 방문객은 2030 MZ세대가 약 73%(네이버 사전 예약 기준)로 가장 많았으며 이외에도 가족 단위의 관람객과 외국인 관광객들도 눈에 띄었다.

2024 한돈데이 팝업스토어는 ‘한돈과 함께하면 뭐든(SUPER) 돼지!’라는 슬로건 아래, 한도니(한돈 공식 캐릭터) 몸 속을 탐험하는 콘셉트로 기획돼 방문객들의 재미를 더했다.

특히 방문객들은 역동적인 게임으로 누구나 신나게 참여할 수 있었던 ‘한돈과 수입육의 랜덤 레이스 게임’에 많은 호응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한돈과 수입육의 유통경로에 이렇게 큰 차이점이 있는지 몰랐다며 가장 기억에 남는 코너라고 입을 모았다.

또한 축산물이력제 설명으로 한돈을 더욱 신뢰할 수 있게 되었다는 평도 많았다. 이밖에 삼겹살 지방 취향찾기 코너도 많은 호응을 받았으며, 다양한 이벤트 체험으로 귀엽고 실용성 높은 한돈 굿즈를 풍성하게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포인트가 됐다.

연휴를 맞아 가족들과 함께 한돈데이 팝업스토어를 찾은 한 관람객은 “한돈 뿐만 아니라 여러 협업기업과 함께한 파트너스존, 푸드빌리지 등 다양한 콘텐츠와 먹거리, 즐길거리가 많아 아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팝업스토어를 둘러 봤다”며 “앞으로도 오프라인에서 직접 한돈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라는 소감을 전하기도 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국낙농육우협회 논평...‘용도별 차등가격제’, ‘원유(原乳) 200만톤 유지’가 공염불되어선 안돼!
정부는 국산 유가공품 시장 활성화, 유업체의 국산 원유(原乳) 구매확대(수입원유 대체)를 통한 자급률 향상, 농가 소득 유지를 위해 ’23년부터 ‘원유의 용도별 차등가격제(이하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와 관련 제도참여 유업체(이하 유업체)는 낙농진흥회와 참여계약서를 체결하고 용도별 물량을 배정받아, 음용유 5만톤, 가공유 10만톤에 해당하는 예산지원을 정부로부터 받아왔다. 특히 올해는 생산자와 유업체간 용도별 가격·물량조정 협상을 진행하여, 정부중재 하에 가격은 동결하고 향후 2년간(’25~’26)의 용도별 물량(구간)을 쿼터의 88.5%(음용유)와 5.0%(가공유)를 적용키로 각각 합의한 바 있다. 유업체들은 제도참여를 통해 정부로부터 ‘국내 원유수요기반 확대 및 자급률 향상’을 명목으로 예산지원을 받았다. 그러나 정작 유업체들은 경영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제도의 참여기준을 훼손하는 수준의 과도한 물량감축을 일제히 예고하며 농가들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정부가 제도도입 당시 농가와 약속한 바대로 제도를 통해 낙농가가 원유를 재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어야 하나, 현상은 오히려 유업체만을 위한 감축방식으로 이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정부와 낙농진흥회는 제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