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손세희 한돈협회장 “돼지 농사 쉬운 세상 만들 것”

- “앞으로 한돈시장의 다양성과 고급화사업에 더욱 역점 둘 것”
- “물가 안정만 강조하면 생산 농민들은 뒷전일 수 밖에...이건 큰 잘못!”

【인터뷰...손세희 한돈협회장,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손세희 한돈협회장(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은 최근 취임 2주년을 맞아 협회 김춘일 부회장, 구경본 부회장, 문석주 부회장, 조영욱 부회장 등과 함께 농축산전문기자들과 간담회를 갖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손세희 회장은 “많이 부족했다! 앞으로도 돼지 키우기 쉬운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한번 더 강조하며 말머리를 이어갔다.

 

손 회장은 “앞으로 한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돈시장의 다양성과 한돈 고급화사업에 더욱 역점 둘 것이다.”고 했다.

 

 

특히, 손 회장은 정부 당국의 물가안정과 관련해서도 말문을 열었는데 “정부의 물가안정 강조는 중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농업 농촌의 역량을 높여 줄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가 앞장서서 할당관세를 남발하여 농축산물 수입을 손쉽게 열어 주는 것은 크게 잘못됐다고 본다." 

 

"물가 안정만을 강조하다 보면 현장에서 속앓이를 하는 생산 농민들은 뒷전일 수 밖에 없는 노릇”이라고 작심발언을 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손회장은 ASF 확산지역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과 ASF 예방백신 연구개발과 관련 “국내 ASF 백신개발이 임박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백신 정책은 부작용으로 인해 생산농가들 피해가 많아, 너무 서둘러 추진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정부가 더욱 세심하게 살펴 볼 일이다.”라며 말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해서는 구경본 부회장과 김춘일 부회장, 조영욱 부회장이 “한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질병발생이 최소화 하도록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질적인 환경민원 문제에 대해서도 “축산냄세(악취) 문제는 많이 개선되고 있으나, 자원순환농법의 활성화를 통해 잘 풀어 나가는데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문석주 부회장이 덧붙여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치유농업, 농가 이전·사업화 실증으로 확산 기반 구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4종)의 농장이전(6개소) 및 사업화 실증을 완료하고 22일 오송 H호텔에서 결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지역 수요농장(6개소)에 맞춤형으로 이전하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 사업화모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진됐다. 운영기관인 농진원은 지난 3월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고, 6개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실증농장과 지역 내 치유대상 희망자에게 적용하는 사업화모델을 11월까지 약 9개월간 구축해 왔다. 이번 사업에서 농장에 이전된 농진청 프로그램(4종)은 경도인지장애 및 소외노인을 비롯하여 암진단 경험자와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122명)가 참여하였고, 의미 있는 치유 효과가 재현됨을 확인했다. 실증과정에서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각 농장이 가진 자원(농업자원, 시설, 인적역량 등)에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서비스 제공농장의 운영 역량을 높여 주었고, 프로그램 참여자와 치유대상 희망자를 연계해 준 지역 보건복지 수요기관 등의 만족도 또한 높아 향후 이전·실증 프로그램의 서비스 상용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