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농촌진흥청·이마트 협업...‘재발견 프로젝트’ 농산가공품 매장 오픈

- 경기도 하남 미사스타필드…총 9개 상품 전시·시식·판매 
- 상품 증정 등 고객 대상 다양한 행사 진행… 농가 판로 확대 등 기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과 이마트가 우수 농산가공품 발굴·육성을 위해 협업 추진하고 있는 ‘재발견 프로젝트’ 사업 첫 번째로 전라권의 농산가공품을 소비자에게 선보이는 자리가 마련된다.

10월 6~8일까지 3일간 경기 하남 스타필드 1층에서 개장하는 ‘재발견 프로젝트 임시매장(팝업스토어)’에서는 사업을 통해 새롭게 변신한 전라권 농산가공품 9개를 선보인다.

재발견 프로젝트는 우수한 품질과 상품 경쟁력은 있으나 판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산가공품을 발굴해 상품 포장 개선, 제품 영상 제작, 이마트 입점․판매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를 위해 농촌진흥청과 이마트는 올해 4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9개 상품은 △쌀누룽지(전북 무주) △발효콩 단백질 셰이크(전북 익산) △오곡 곡물당(전남 고흥) △울금홍게 맛간장(전남 진도) △호두잣율무차(전남 구례) △오란다강정(전남 장성) △강진된장(전남 강진) △도라지배즙(전남 영광) △배도라지진액스틱(전남 나주)이다.

 


임시매장은 낮 12시부터 저녁 8시까지 운영된다. 방문 고객들은 자유롭게 상품을 둘러보고 맛보며, 마음에 드는 상품은 온라인으로 주문할 수 있다.

또한, 현장 행사(이벤트)로 촬영 구역(포토존)에서 사진을 찍고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리면 장바구니와 풍선을 무료 증정한다. 9개 상품을 모두 시식한 고객들은 원판(룰렛) 돌리기에 참여해 재발견 프로젝트 상품을 받을 수 있다.

임시매장 운영 기간 중 이마트에 입점할 상품 발굴을 위한 고객 현장 투표도 진행한다. 고객 평가와 전문가 심사 등을 거쳐 9개 상품 중 3개 상품을 선정하고, 올해 11월 말부터 전국 이마트 매장에서 피엔비(PNB) 제품으로 판매할 예정이다.
PNB(Private National Brand)는유통업체가 상품을 기획하고 제조업체가 생산해 특정 유통업체에서 판매하는 상품

 


한편, ‘재발견 프로젝트’는 올해 전라권역을 시작으로 2024년 경상권, 2025년 충청권, 2026년 경기‧강원‧제주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조은희 과장은 “이번 행사가 소비자에게 우수한 농산가공품을 널리 알리고, 농가 판로 확대를 도모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앞으로 재발견 프로젝트가 농업‧농촌의 상생‧발전을 위한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치유농업, 농가 이전·사업화 실증으로 확산 기반 구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4종)의 농장이전(6개소) 및 사업화 실증을 완료하고 22일 오송 H호텔에서 결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지역 수요농장(6개소)에 맞춤형으로 이전하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 사업화모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진됐다. 운영기관인 농진원은 지난 3월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고, 6개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실증농장과 지역 내 치유대상 희망자에게 적용하는 사업화모델을 11월까지 약 9개월간 구축해 왔다. 이번 사업에서 농장에 이전된 농진청 프로그램(4종)은 경도인지장애 및 소외노인을 비롯하여 암진단 경험자와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122명)가 참여하였고, 의미 있는 치유 효과가 재현됨을 확인했다. 실증과정에서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각 농장이 가진 자원(농업자원, 시설, 인적역량 등)에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서비스 제공농장의 운영 역량을 높여 주었고, 프로그램 참여자와 치유대상 희망자를 연계해 준 지역 보건복지 수요기관 등의 만족도 또한 높아 향후 이전·실증 프로그램의 서비스 상용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