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기후변화 속에 '썸머킹' 초록사과와 노란사과 ‘골든볼’에 주목

-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10년 전보다 껍질 색 관리 시간 3.3시간 늘어
- 껍질 색 관리 필요 없는 초록색, 노란색 품종 눈길
- ‘썸머킹’ 풍부한 과즙, 아삭한 맛 으뜸… ‘골든볼’ 맛 진하고 저장성 좋아


사과하면 으레 ‘백설공주’에 나오는 빨간 사과를 떠올리기 쉽지만, 최근 시장에는 초록색, 노란색 품종도 활발히 유통되고 있다. 여기에는 여름철 기온 상승 등 기후변화의 영향도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 사과 품종 가운데 초록색, 노란색 사과를 소개했다.

# 기온 상승으로 사과의 껍질 색 관리 시간 늘어

사과 껍질은 사과의 안토시아닌 색소가 발현하며 빨갛게 변한다. 사과의 색들임(착색) 정도는 겉모양(외관), 크기, 당도와 더불어 사과 품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최근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며 색들임(착색)이 지연되고, 껍질 색이 선명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사과 착색의 색들임은 15~20℃가 가장 좋고 30℃ 이상이거나 10℃ 이하에서는 색이 잘 들지 않는다.

이에 농가에서는 사과색이 잘 들도록 열매를 이리저리 돌려주고, 열매에 그늘이 지지 않고 햇볕을 고루 받도록 잎과 가지도 제거한다. 사과의 안토시아닌은 반드시 빛이 닿아야만 발현되기 때문이다.

이밖에 사과나무 밑에 반사필름을 깔아놓고 햇빛이 닿지 않는 열매의 아랫부분까지 색이 고르게 들게도 한다.

이러한 반사필름 깔기와 잎 따기 등 ‘색들임(착색) 관리’에 드는 시간은 10아르(a)당 한해 15.3시간(2020년 기준)에 달한다. 이는 10년 전(2010년 기준, 12시간)보다 3.3시간 증가한 수치이다.

# 색들임 노력이 필요 없는 사과가 있다?

색들임 노력이 덜 드는 사과 품종도 있다. 초여름에 나오는 국산 초록 사과로는 ‘썸머킹’이 대표적이다. ‘썸머킹’은 초록 사과로 잘 알려진 일본 품종 ‘쓰가루(아오리)’를 대체하기 위해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에서 2010년 개발했다. 7월 중순 붉은색이 살짝 든 초록색 상태로 맛이 들어(숙기) 따로 색들임 관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노란 사과 품종으로는 ‘골든볼’이 있다. ‘골든볼’은 2017년 개발한 후 농가에 보급한 지 3~4년 된 최신 품종으로 8월 중순경 노란색 상태로 맛이 든다.

‘썸머킹’과 ‘골든볼’은 색들임 관리가 필요 없어 노동력이 적게 들고 다른 품종보다 빨리 수확하므로 재배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 초록 사과, 노란 사과 맛은 어떨까?

‘썸머킹’은 당도 13.9브릭스(°Bx), 산도(신맛) 0.43%로 같은 시기에 출하되는 ‘쓰가루’보다 과즙이 풍부하고 아삭아삭한 맛이 우수하다. 전국적으로 177헥타르(ha) 정도에서 재배 중이며, 올해 약 300톤 이상이 시장에 유통될 것으로 예상한다.

 


‘골든볼’은 당도 14.8(°Bx), 산도(신맛) 0.51%로 새콤달콤하고 맛이 진한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여름 사과는 저장성이 떨어지지만 ‘골든볼’은 과육이 단단하고, 상온에서도 10일 이상 유통할 수 있다. 2019년부터 여러 업체에서 묘목을 생산하고 있다. 아직 재배면적이 넓지 않아 백화점과 대형유통업체를 통해 소량 유통 중이다.

실제 두 품종을 비교해 본 유통업체 담당자는 “‘썸머킹’은 여름 사과로 인지도가 높아져 소비자 수요가 늘고 있고, 노란색의 새콤달콤한 ‘골든볼’은 가장 맛있는 조생종 사과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소장은 “기후변화로 여름철 기온이 오르면 사과색이 잘 들지 않고, 품질이 떨어지며, 생산량도 줄어드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라며 “고온에서도 품질 좋고 수확량이 많은 품종을 개발해 적극적으로 보급하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국4-H중앙연합회, 국정감사 '청년농업인' 정책 요구
한국4-H중앙연합회·한국4-H본부는 `23년 정기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국정감사 청년농업인 정책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이번 요구사항은 9천여 4-H청년농업인, 2천여 대학4-H회원, 3천여 4-H지도교사, 1만여 4-H지도자의 현장 의견과 함께 지역단위 회의 및 간담회를 통해 도출된 청년농업인 정책 주요 현안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국정과제인 청년농업인 3만명 육성을 위해서는 유입-정착-성장의 체계적 지원이 이뤄져야 하고, 농업과 농촌을 이해하는 잠재인력의 저변 확대를 통해 예비 청년농업인 자원과 농업·농촌 우호 시민이 육성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위한 청년농업인 및 4-H가족들의 현장애로 등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영농승계, 취농정책등 6대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시행 첫해인 올해 국정감사에서는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청년농업인 정책과 제도를 점검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진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제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인 만큼 그 어느 때 보다 국정감사에 대한 농촌 현장의 관심이 높다. 이에 4-H는 오는 10월 10일(화)부터 본격적으로 막이 오르는 국정감사를 주시할 것이며, 청년농업인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