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사용 전기료' 인상...농민단체들 인상중단 촉구

- 한국농축산연합회 "농가도산의 뇌관이 된 농사용 전기료 폭탄, 즉각 중단하라!" 긴급성명 발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는 5월 16일부터 농사용 전기료 2.7원/kwh 인상발표에 한국농축산연합회 등 농민단체들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2분기 전기요금을 전력 종류와 구분없이 1kwh당 8원 인상하되, 농사용 전기료는 2023년 2분기 2.7원/kwh, 2024년 2분기 2.7원/kwh, 2025년 2분기 2.6원/kwh 각각 인상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와 한전은 1분기에도 같은 방식으로 농사용 전기료를 연차별로 인상한 바 있다.
   
농사용 전기료 인상분을 3년에 걸쳐 적용하더라도, 지난해 4월부터 분기마다 전기료가 계속 올라 농민들은 그야말로 전기료 폭탄을 맞았다. 정부와 한전은 농사용 전기 판매비중이 3.4%밖에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력종류와 관계없이 농사용과 산업용(판매비중 56.3%)을 동일한 잣대로 전기료를 계속 정액인상하면서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농사용 전기료의 인상폭은 계속 커지고 있다.

실제 올해 2분기 농사용 전기료(‘을’, 저압)는 53.0원/㎾h으로 지난해 1분기(34.2원/㎾h) 대비 55%나 폭등했다. 올해 3분기와 4분기에도 같은 방식으로 전기료를 인상한다면 현장 농민들은 더 이상 감내하기 힘들다.
   
농축산물 가격폭락 속에 농업 생산비 폭등으로 현장농가들의 어려움은 커지고 있다. 지난 2월 3일 통계청이 발표한‘2022년 농가판매 및 구입가격조사 결과’에 따르면,  농가판매가격지수는 일부품목을 제외하고는 쌀, 배, 사과, 한우, 계란 등이 –7.7% ~ -26.7% 감소했다.

반면 농가구입지수는 특히 전기료 등이 포함된 영농광열비의 경우 66.9%나 폭등했고 인건비 13%, 비료값 132.7%, 사료비 21.6%, 영농자재비 29.2% 각각 폭등했다. 이에 계속되는 농사용 전기료 폭등은 농가 도산의 뇌관이 된 셈이다.
   
식량안보 차원에서 전기료, 기름값, 가스 등 농사용 에너지 대책 수립이 시급한 시점이다.
에너지가격 폭등에 따른 농가 도산은 농축산물 수급 및 소비자물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특단대책이 필요하다.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이승회)는 정부의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방식을 정률제로 즉시 개편하는 한편, 영세농·소농 에너지바우처 사업신설, 농사용 전기료 인상분 정부(지자체) 지원을 포함한 농사용 에너지 종합지원대책을 즉각 수립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소비자단체와 함께 '등급계란' 바로알기 캠페인
축산물품질평가원 대전충남지원(지원장 선창완)은 지난 25일 소비자단체 (대전세종 소비자공익네트워크)와 협력하여 ‘등급계란 인식 제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번 행사는 세종시 ‘세종로컬푸드 싱싱장터 아름점’에서 이뤄졌으며, 로컬푸드 생산자 협의체와 함께 진행됐다. 현장에서 소비자에게 계란 등급판정 및 이력관리 제도의 취지와 필요성을 설명하고, 계란 껍데기에 표기된 숫자의 의미와 확인 방법(산란일자, 생산자 고유번호, 사육환경)및 신선한 계란 고르는 방법 등을 소개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진행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등급판정 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 제도의 이해도를 높였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들은 “계란 껍데기에 다양한 정보가 들어 있다는 사실이 새로웠다”며 “계란 선택 시 등급 표시와 이력번호를 더 꼼꼼히 살펴 봄으로써 제도를 올바르게 활용하는 소비자 역할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선창완 대전충남지원 지원장은 “축산물 품질평가 및 이력관리 제도 등은 소비자 알권리 충족과 더불어 유통의 투명성을 통해 국내 축산물의 안심소비를 위한 것이다.” 라며 “앞으로도 소비자와 현장 소통을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축산물 소비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