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진원 '이전공공기관연계육성사업' 통합 성과보고회 성료

- 한국농업기술진흥원, 5개년 사업의 결실과 스마트농업 발전 중심
- 안호근 원장 "스마트농업 발전 위해 농산업체 지원 강화하도록 더 노력할 것”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12월 20일 전북테크노파크와 함께 ‘이전공공기관연계육성사업’의 통합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통합 성과보고회에서는 참여기관과 농산업체를 대상으로 우수 사례 성과 등을 알려 공공기관 연계성 확보와 지역 경쟁력 강화 및 성과 확대를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농진원은 이전공공기관연계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스마트농업 기업지원사업 성과 소개는 지난 5년 동안 전라북도 내 스마트 농생명 농산업체 30사를 지원하여 매출 65억 증대와 고용 35명 창출 등의 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지역혁신기관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민관 공동협력하여 전라북도 내 농업기술센터와 지원기업을 매칭, 현장실증 지원사업을 확대한 사례를 소개했다.

한편 이번 통합 성과보고회는 농진원 사례 뿐만 아니라 이전공공기관연계육상사업에 참여한 다양한 기관의 사업 성과 사례도 소개되었다.

대표적으로 전북테크노파크는 기업지원 전략을 수립하여 OpenLAB 연계 중장기 선도기술 기업육성과 마케팅 지원을 실시하였다.

한국농수산대학교는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설채소·화훼류 스마트팜 현장실습형 교육’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80여명이 넘는 수강생을 배출하였다.

농진원 안호근 원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지난 5년 동안 협력한 기관들과 함께 결실을 나눌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우리나라 스마트농업 발전을 위해 농산업체에 대한 지원 강화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자재값 널뛰기' 예방될 듯...농민들 기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1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공급망 위험 대응을 위한 필수농자재등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가결되었다고 밝혔다. 그동안 정부는 전세계적 금융위기나 러-우 전쟁과 같은 국제정세 불안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여 이를 사용한 농자재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농가에 한시적인 재정지원을 해왔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은 농자재 가격이 급등한 후 취해지는 사후적인 조치에 불과해 농가의 경영불안을 해소시켜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수개월에 걸친 논의 끝에 공급망 위험으로 가격 상승 우려가 높은 비료, 사료, 유류, 전기와 같은 필수농자재 및 에너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대응조치와 농가 경영비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담은 ‘필수농자재등지원법’을 마련하였다. 앞으로 농식품부는 ‘필수농자재등지원법’에 따라 공급망 위험으로 인해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상승할 경우 그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가격 안정을 위한 선제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선제적 가격 안정 조치에도 불구하고 필수농자재등의 가격이 심각한 수준으로 상승할 경우 농식품부는 지방정부와 함께 농가에 필수농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