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농촌진흥청, 내년 예산안 1조 2,525억 원 확대 편성

2023년 농촌진흥청 예산안 규모 올해보다 632억 원 증액(5.3%)된 1조 2,525억 원 규모로 편성 국회에 제출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2023년 예산안을 올해(1조 1,893억 원)보다 632억 원(5.3%) 증가한 1조 2,525억 원으로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한다고 밝혔다.

농촌진흥청은 2023년도 예산안을 토대로 농업・농촌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구현을 위한 식량주권 확보·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등 국정과제 이행을 지원하고, 농촌 활성화 및 현장 지원 강화 등 현안문제 해결과 한국농업기술의 세계화 확산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농업기술 개발ㆍ보급을 통한 농업・농촌 관련 국정과제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①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지원 2,406억 원 ②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강화 830억 원 ③농산촌 지원 강화 및 성장환경 조성 238억 원을 편성했다.

 

◇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지원(2,010 → 2,406억 원)

농림축산식품 분야 혁신 생태계 조성, 환경친화적 농축산업 전환 등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을 위해 기술혁신, 기반시설(인프라) 확충을 지원한다.  스마트농업 기술, 탄소중립, 그린바이오 등 신기술 활용 기술개발 분야에 2,406억 원을 편성했다. 올해 예산(2,010억 원)보다 396억 원(19.7%) 증가한 규모다.

주요 사업내용은 ▲공공성 확보를 위한 국가 기반 육종 플랫폼 개발(신규, 45억 원) ▲꿀벌 강건성 연구(신규, 15억 원) ▲수출 농업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신규, 41억 원) ▲농축산분야 탄소 저감기술 이행기반 구축(신규, 37억 원) ▲순환농업 구현을 위한 시설재배 부산물 재활용 시스템 구축(신규, 10억 원) 등을 신규로 추진한다.

또, ▲농축산물 수확 후 관리 데이터 활용 기술개발(10 → 50억 원) ▲농업위성 정보 활용센터 구축(17 → 57억 원) ▲농식품 구매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10 → 13억 원) ▲원예 특용 자원 생산과 품질 표준화 연구(70 → 90억 원)를 확대 지원한다.

◇ 식량주권 확보와 농가 경영안정 강화(704 → 830억 원)

기초 식량(밀, 콩 등) 중심으로 자급률을 높이고, 국산 농산물 수요 확대와 안전먹거리 생산,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에 올해 예산(704억 원)보다 126억 원(18.0%) 증가한 830억 원을 투입한다.

 


주요 사업내용은 ▲간척지 첨단농업 기술개발(신규, 20억 원)을 신규로 추진하고, ▲밀・콩・쌀가루 등 식량자급률 향상모델 기반조성(15 → 76억 원)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센터 협력(182 → 228억 원) 사업을 확대 지원할 계획이다.

◇ 농산촌 지원 강화 및 성장환경 조성(155 → 238억 원)

농촌 공간의 쾌적성·편리성을 높이고, 농촌주민 삶의 질 향상과 국가 균형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올해 예산(155억 원)보다 83억 원(53.6%) 증가한 238억 원을 편성했다.

 


주요 사업내용은 ▲현장 맞춤형 다목적 밭농업 기계개발(신규, 13억 원)을 신규로 추진하고, ▲디지털 기반 농촌 공간 재생 기술개발(17 → 23억 원) ▲치유농업연구소 기반구축(10 → 72억 원) ▲농업인 안전 재해 관리 기술개발(8 → 11억 원)을 확대 지원한다.

◇ 반려동물 산업 질적 성장 지원(10 → 34억 원)
 
아울러 반려동물의 영양・생리 기반의 사료 국산화 및 건강증진・질병 예방 기반 기술개발에 올해 예산(10억 원)보다 24억 원(235.0%) 증가한 34억 원을 반영했다.

◇ 현안 문제 해결 및 현장 지원(1,434 → 1,576억 원)

농촌진흥청은 이외에도 과수화상병 등 고위험 병해충 방제 등 현장의 애로와 현안 해결 지원에 올해 예산(1,434억 원)보다 143억 원(9.9%) 증가한 1,576억 원을 지원키로 했다.

 


주요 사업은 ▲꿀벌자원 육성품종 증식장 구축(신규, 36억 원) ▲전기식 농기계 배터리 검정기반 구축(신규, 11억 원)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고, ▲농작물병해충예찰방제사업(353 → 438억 원) ▲과수화상병 등 현안 문제 병해충 피해경감 기술개발(105 → 119억 원) ▲가축분뇨 분석기반 구축(6 → 24억 원) ▲지역농업 연구기반 및 전략작목 육성(173 → 182억 원)을 확대 지원한다.

또한, 축산자원개발부 이전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에 필요한 2023년 예산을 올해(319억 원) 보다 621억 원(194.2%) 증가한 940억 원으로 편성했다. 

조재호 농촌진흥청장은 “기후변화・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국제 곡물 수급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라며, “식량안보를 튼튼히 하고 미래성장 산업화 등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국정과제 이행을 뒷받침하고, 농업・농촌이 당면한 현안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관의 역량을 집중하여 가시적 성과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