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라면’ 영양관련기사 98% “라면! 해롭다(?)”

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경희대 오세영 교수팀 분석결과 발표
국내 3개 매체에 50년간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 분석 결과

국내에서 라면 판매가 시작된 1963년 이후 라면 관련 뉴스 중 가장 빈번한 것은 사건ㆍ사고를 다루는 사회면 기사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50년간 라면의 영양에 대한 기사의 98%가 라면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라면이 “건강에 해롭다”는 기사가 대부분을 차지한 것이다.

 

10월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오세영 교수팀이 1963∼2012년 국내 세 매체(동아일보ㆍ경향신문ㆍMBC)에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라면을 보는 5가지 시각-기사분석을 중심으로-)는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세 매체에 50년간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 중 사회면 기사는 모두 1571건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다음은 생활문화면(875건)ㆍ경제면(487건)ㆍ국제면(321건)ㆍ정치면(214건) 등의 순이었다(기타 355건).

 

라면을 다룬 사회면 기사 중에선 기부ㆍ봉사 관련 기사가 가장 많았다. 이는 라면이 이웃돕기ㆍ각종 위문품에 자주 이용됐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1989년 발생한 우지라면 사고도 미디어의 사회면에 자주 다뤄졌다.

 

오 교수팀은 논문에서 “수년을 끈 재판 끝에 제조사 측의 무죄판결이 나기는 했지만 이 사건은 소비자ㆍ제조사 모두에게 타격을 줬다”며 “계속 같은 방법을 고수하며 맛에 치우쳤던 제조사, 사건진위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터뜨린 검찰, 자극적 기사로 소비자를 흥분시킨 언론, 중심을 잡지 못하고 소비자를 혼동시킨 관련부처, 이성적 판단보다는 감정적 판단이 앞선 소비자가 만든 함께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50년간 라면의 영양 관련 기사는 98%가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분식 장려를 위해 1960년대와 70년대엔 라면이 고영양식품임을 간접적으로 알리는 긍정 기사가 실리기도 했으나 1880년대 이후엔 부정적 기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라면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전한 기사에선 지방ㆍ고열량으로 인한 비만, 높은 나트륨 함량, 궤양, 피부질환 등이 주로 거론됐다. 특히 나트륨(37%)ㆍ열량(27%)을 부각시켰다.

 

오 교수팀은 논문에서 “라면은 지난 50년간 음식의 기본가치인 생리적 가치에 더해 사회적 가치를 갖고 사회와 밀접하게 관련지어 변화했다”고 설명했다.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 행사 잇따라 열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민경천, 이하 한우자조금)와 (사)전국한우협회, 농협경제지주는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11월 1일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을 기념하고,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맞아 전국 한우농가들이 십시일반 거출한 한우자조금으로 전국 온·오프라인 대규모 한우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대한민국이 한우먹는날’은 2008년 처음 지정된 기념일로, ‘소(牛)’ 자에 들어 있는 숫자 ‘1’이 세 번 겹치는 11월 1일을 상징적으로 선택해 ‘한우의 맛이 최고·제일·으뜸’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 날은 국민 모두가 함께 한우를 즐기며 한우의 우수성과 가치를 나누는 한우 명절로 자리매김해왔으며, 매년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이번 행사는 ‘전 국민이 함께 즐기는 한우의 날’이라는 취지 아래, 평소 한우를 사랑해 주신 소비자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전국 한우농가의 진심을 담아 기획되었다. 28일 서울 종로구 교원 챌린지홀에서 열린 기념행사에는 민경천 한우자조금 위원장을 비롯해 한우 명예홍보대사 개그맨 윤형빈, 트로트가수 윤서령이 참석해 전 국민과 함께하는 축제의 시작을 알렸다. '소프라이즈 2025 대한민국 한우세일'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우유자조금, 국산 우유의 신선한 가치 확인...‘밀크&치즈 페스티벌’ 성료
국산 우유의 신선함과 품질 경쟁력을 시민이 직접 체험한 ‘2025 밀크&치즈 페스티벌’이 시민들의 높은 만족 속에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와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대표 안병우)는 10월 25일(토)부터 26일(일)까지 경기 안양시 평촌중앙공원에서 행사를 개최했으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높은 만족 속에 진행되었다. 페스티벌 첫날은 화창한 가을 날씨로 축제의 분위기가 한껏 고조되었고, 둘째 날 오전 비가 내렸음에도 시민들의 발걸음은 이어졌다. 뜨거운 참여 열기에 비까지 그치며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올해 행사는 ‘우유는 신선식품입니다’를 핵심 메시지로 다채로운 체험 부스를 마련해 국산 우유가 목장에서 소비자에게 이르는 전 과정에서 48시간 이내에 유통되는 신선식품임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각종 교육‧요리‧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산 우유는 곧 신선식품이라는 인식 확산에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다. 현장에서는 국산 우유와 치즈를 직접 맛보고 배우며 즐길 수 있는 여러 체험 콘텐츠가 운영됐다. 국산 치즈 요리·시식 프로그램을 통해 맛의 즐거움을 전했고, 우유의 품질관리 체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