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라면’ 영양관련기사 98% “라면! 해롭다(?)”

커뮤니케이션포럼에서 경희대 오세영 교수팀 분석결과 발표
국내 3개 매체에 50년간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 분석 결과

국내에서 라면 판매가 시작된 1963년 이후 라면 관련 뉴스 중 가장 빈번한 것은 사건ㆍ사고를 다루는 사회면 기사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50년간 라면의 영양에 대한 기사의 98%가 라면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시켰다. 라면이 “건강에 해롭다”는 기사가 대부분을 차지한 것이다.

 

10월 2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오세영 교수팀이 1963∼2012년 국내 세 매체(동아일보ㆍ경향신문ㆍMBC)에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라면을 보는 5가지 시각-기사분석을 중심으로-)는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세 매체에 50년간 보도된 라면 관련 기사 3823건 중 사회면 기사는 모두 1571건으로 전체의 41%를 차지했다. 다음은 생활문화면(875건)ㆍ경제면(487건)ㆍ국제면(321건)ㆍ정치면(214건) 등의 순이었다(기타 355건).

 

라면을 다룬 사회면 기사 중에선 기부ㆍ봉사 관련 기사가 가장 많았다. 이는 라면이 이웃돕기ㆍ각종 위문품에 자주 이용됐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1989년 발생한 우지라면 사고도 미디어의 사회면에 자주 다뤄졌다.

 

오 교수팀은 논문에서 “수년을 끈 재판 끝에 제조사 측의 무죄판결이 나기는 했지만 이 사건은 소비자ㆍ제조사 모두에게 타격을 줬다”며 “계속 같은 방법을 고수하며 맛에 치우쳤던 제조사, 사건진위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터뜨린 검찰, 자극적 기사로 소비자를 흥분시킨 언론, 중심을 잡지 못하고 소비자를 혼동시킨 관련부처, 이성적 판단보다는 감정적 판단이 앞선 소비자가 만든 함께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50년간 라면의 영양 관련 기사는 98%가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분식 장려를 위해 1960년대와 70년대엔 라면이 고영양식품임을 간접적으로 알리는 긍정 기사가 실리기도 했으나 1880년대 이후엔 부정적 기사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졌다. 라면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전한 기사에선 지방ㆍ고열량으로 인한 비만, 높은 나트륨 함량, 궤양, 피부질환 등이 주로 거론됐다. 특히 나트륨(37%)ㆍ열량(27%)을 부각시켰다.

 

오 교수팀은 논문에서 “라면은 지난 50년간 음식의 기본가치인 생리적 가치에 더해 사회적 가치를 갖고 사회와 밀접하게 관련지어 변화했다”고 설명했다.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조성에 매진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산업형 민간기관 2곳이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신규 선정되면서 미생물자원 산업화가 활기를 띨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