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과수화상병' 피해면적 확산 큰 문제

- 최근 5년여간 과수화상병 피해면적 1,074ha, 축구장 1,535개 크기!
- 충북 피해 농가 1,124호, 582ha 피해로 전국 최고, 피해액도 1,280억원으로 많아!
- 정 의원, “치료제 없는 과수화상병, 철저한 예방 활동으로 피해 최소화에 힘써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군·성주군·칠곡군)이 농촌진흥청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여간(2018~2023.8월) 과수화상병 발생 및 면적, 보상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과수화상병 피해 농가는 2018년 67호에서, 2019년 188호, 2020년 744호, 2021년 618호, 2022년 245호, 2023년 8월 기준 227호로 총 2,089호로 나타났으며, 피해 면적도 2018년 48.2ha, 2019년 131.5ha, 2020년 394.4ha, 2021년 288.9ha, 2022년 108.2ha, 2023.8월 103.4ha로 축구장(0.7ha) 1,535개 크기에 달하는 총 1,074.6ha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충청북도의 과수화상병 피해가 최근 5년여간 1,124호, 582.2ha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542호, 281.1ha, 충청남도 345호, 165.6ha, 경상북도 37호, 24.7ha, 강원도 32호, 14.7ha, 전라북도 8호, 6.7ha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북도 충주시와 제천시, 경기도 안성시에서는 최근 5년여간 매년 과수화상병이 발생했으며, 충주시의 피해 농가는 702호, 350.9ha, 경기도 안성시 373호, 193.2ha, 충청북도 제천시 301호, 177.9ha 등으로 확인됐다.
 
과수화상병 발생에 따른 피해액은 2018년 205억 4,600만원, 2019년 329억 800만원, 2020년 727억 8,500만원, 2021년 483억 9,200만원, 2020년 184억 9,000만원 등 총 1,931억 2,100만원(2023년 피해액 산출 중)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피해 보상액은 충청북도 1,280억 9,400만원, 경기도 369억 2,300만원, 충청남도 224억 4,100만원, 강원도 34억 4,900만원, 경상북도 14억 8,200만원, 전라북도 8억 3,200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관련 정희용 의원은 과수화상병으로 인한 피해가 매년 발생해 농가의 고통이 가중돼, 철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과수화상병은 전 세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가 없는 만큼, 병에 걸리지 않도록 철저한 예방 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1 / 10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검역본부, 유용한 농업용 천적(天敵) 제43호 탄생!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농업용 천적으로 활용되는 ‘토마토이리응애(Transeius montdorensis)’에 대한 위험평가를 마쳤으며, 관련 고시 개정을 통해 올해 하반기 수입을 허용할 예정이다. 해외 곤충은 병해충으로서 수입이 금지되나 검역본부의 위험평가 후 국내 식물에 피해를 줄 우려가 없는 곤충은 수입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생물적 방제용(천적), 화분매개용 곤충 등이 수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토마토이리응애는 현재 국내 농가의 온실 내 재배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담배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 토마토녹응애 등을 잡아먹는 특성을 가진 곤충으로, 유럽 등 세계 여러 지역에서 생물적 방제용(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검역본부는 토마토이리응애의 국내 정착·확산 가능성, 환경·경제·공중보건 영향, 및 방제 방법 등에 대해 위험평가를 마친 후 환경부 등 관련기관 및 학계 전문가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열대지역 서식 종으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사람과 가축 및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없고, 생물적 방제용(천적)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아 수입 허용을 결정했다. 토마토이리응애는 농약을 대신해 환경친화적인 생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