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치즈페스티벌’ 7월 18일 온라인 개최

요리쇼 참석대상 7월 9일까지 선착순 모집 300팀

농협(회장 이성희)경제지주 축산경제는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와 공동으로 2021년 ‘오늘, 하루도, 국내산 치즈! 국내산 치즈페스티벌’을 7월 18일(일) 오후 3시부터 비대면 온라인방식으로 개최한다.

 

자조금 소비자정보제공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국내산 치즈 페스티벌’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치즈시장에서 국내산 치즈의 저변을 확대함으로서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낙농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 라이브 쿠킹쇼는 최현석쉐프, MC딩동과 함께 각 참가자들이 온라인 (ZOOM플랫폼)으로 접속하여, 3가지 치즈요리 레시피를 쌍방향으로 소통하며 직접 만들어 보는 요리쇼로 참석대상은 7월 9일(금)까지 선착순으로 모집한 300팀이며, 참가 재료로 활용할 국내산 치즈요리키트는 참가신청자 모두에게 사전 개별 발송될 예정이다.

 

그 밖에도 ‘치즈! 퀴즈! 퀴즈!’등 유튜브(우유티비) 스트리밍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프로그램들과 아이패드프로, 다이슨 드라이기, 커피머신, 에어팟프로, 치즈 선물세트 등 푸짐한 경품이 준비되어 있다.

 

(2부) 국내산 치즈 라이브커머스는 실시간 소비자와 소통하는 라이브방송으로 국내산치즈를 최현석 쉐프가 직접 소개하고 판매하며, 명품 국내산 치즈를 시중가 대비 20~25%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페스티벌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 및 참가신청 방법은 운영사무국 홈페이지 및 카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청, ‘국산 밀 활용 제과·제빵 아이디어 공모전’ 성료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와 국산 밀가루 소비 확대를 위한 2025년 ‘제9회 국산밀 활용 제과·제빵 아이디어 공모전’을 열고, 올해의 국산 밀 빵·과자를 선정했다. 지난 11월 6일 본청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에는 (사)한국제과기능장협회 지회 추천을 받은 기능장 44개 팀이 참가했다. 사전에 제공된 고품질 국산 밀가루로 제품을 만들어 당일 출품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국산 밀가루는 농촌진흥청 ‘밀 산업 밸리화 조성 사업’으로 조성된 제분 시설에서 생산된 것으로, 제빵용(강력분) 밀은 ‘황금알’ 품종, 제과용(박력분) 밀은 ‘고소’ 품종이다. ‘황금알’은 단백질 함량이 약 12.2%로 높고, 글루텐 조성이 우수해 빵으로 구웠을 때 잘 부풀고 조직이 고르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고소’는 단백질 함량이 약 8.6% 정도이며, 과자로 구웠을 때 넓게 퍼지고 표면이 고루 잘 갈라져 제과 적성이 우수하다. 심사 결과, 제과 부문 최우수상은 단호박, 수수, 쑥, 메밀, 밤 등을 이용한 타르트와 과자를 선보인 김경선 씨(하레하레, 대전광역시)가 수상했다. 제빵 부문 최우수상은 김지은 씨(더슬로우 베이커리, 경남 진주)가 수상했다. 바닐라빈, 허브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대아청과, 제주 월동채소 경쟁력 강화 현장 간담회 개최
서울 가락시장 대아청과(주) (대표이사 이상용)는 11월 3일과 5일 제주 월동채소 생산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가락시장 대아청과 경매 현장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에서는 본격적인 출하 시기를 앞둔 제주 월동채소의 작황과 현장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최근 품목별 거래 동향, 농산물 소비 트렌드, 선별 방법 등을 공유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간담회에는 제주 한림읍 양배추 생산자협의회 25명과 성산읍 무 생산자협의회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채소2동 경매 현장을 둘러본 뒤, 우수품 기준과 월동채소 출하시기 등 농산물 유통 전반에 대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상용 대표는 “제주 농산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청정 제주의 이미지를 농산물에 접목한 상품화 과정을 통해 우수한 제주 농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과 소비자가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양의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대아청과는 산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제주 농산물의 판매 활성화와 경쟁력 제고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아청과는 지난 7월 제주 농업현장을 방문해 비료, 농약, 포장재 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