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시장평가 우수한 ‘딸기’ 새 품종 서둘러 보급

농촌진흥청, 18일 경남 진주에서 딸기 시범사업 설명회

시장평가 우수한 ‘딸기’ 새 품종 서둘러 보급

농촌진흥청, 18일 경남 진주에서 딸기 시범사업 설명회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올해 새롭게 진행되는 ‘딸기 신품종 조기보급 확대시범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1 18일 경남 진주시 대평면농산물직판장에서 실시했다.

경남농업기술원과 함께 마련하는 이번 설명회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아리향품종과 경상남도농업기술에서 육성한 금실품종이 소개된다.

 

아리향은 단단함이 좋고(고경도), 특과인 25g 이상 생산 비중이 70%를 넘는 크기가 큰 품종이다평균 당도는 10.4브릭스다. ‘금실은 평균 당도 11.2브릭스로 당도가 높고 약한 복숭아 향이 나며 무게는 20.5g으로 중대과형이다.  

이들 품종은 지난해 말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열린 시장평가에서 과즙이 풍부하고 당도와 경도가 높아 농산물유통전문 관계자에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이에 따라 앞으로 수출 품종으로 확대 보급될 전망이다. 

딸기 신품종 조기보급 확대시범사업은 아리향금실품종의 시범재배를 지역별로 10개소에 10ha 규모로 실시해 2020년까지 점진적으로 확대 보급한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딸기 신품종의 종묘를 공급하고 신품종 특성에 맞는 수경재배난방 및 환경개선포장재 등이 지원된다.

이러한 사업 추진을 통해 딸기 신품종을 농가에 보다 빨리 보급해 딸기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명숙 기술지원과장은 국내육성 딸기 품종의 다양화를 통해 내수 및 수출시장의 경쟁력을 보다 높이고 시장평가에서 아리향금실이 주목받고 있기에 이 품종들이 조기에 정착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