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내년 땅콩농사 종자부터 미리 준비해 두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땅콩 우량품종 ‘신팔광’‘흑생’ 종자 10톤 공급

내년 땅콩농사 종자부터 미리 준비해 두자!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땅콩 우량품종 ‘신팔광’‘흑생종자 10톤 공급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류갑희) 2017년산 땅콩종자 2품종 10톤을 시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공급한다. 심혈관 질환예방 등에 땅콩을 비롯한 견과류가 좋은 효과를 준다고 알려지면서 국산 땅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대규모 땅콩 농가도 생겨나면서 수량 많고 재배 안정성이 뛰어난 땅콩품종에 대한 농가 요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실용화재단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재래종 대비 표준 수확량과 재배안정성 등을 향상 시킨 신품종 종자를 전국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에 실용화재단에서 공급하는 종자는 전량 미소독 종자로 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피땅콩으로 공급하며종자가 필요한 농가에서는 12 8()까지 신청 농가의 재배지 관할지역의 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면 된다포장단위는 10kg이며신청한 종자는 올해 12월 중순에서 내년1월 말 사이에 공급될 예정이다이번에 공급하는 땅콩종자의 품종으로는 신팔광’,‘흑생 있다.

신팔광은 대립(92g/100)의 간식용 볶음땅콩으로 10a 540kg까지 수확이 가능한 다수성 신품종이다줄기가 짧은 편이라 기계수확에도 유리하며그물무늬병 등의 병해에도 강하다기존 농가에 보급했던 팔광품종을 키는 더 작게알은 더 굵게포기 내 꼬투리 크기는 더 균일하게 개량한 품종이다.

흑생은 검정땅콩 품종으로 껍질이 얇고꼬투리수가 많아 알이 충실히 잘 맺도록 개량된 품종이다.

 

기존에 국산품종이 없어 외국 도입종을 일부 재배해 왔지만일반땅콩에 비해 수량도 낮고 가격도 비싸게 거래되었다이를 대체하는 흑생은 수량도 10a 425kg까지 수확이 가능한 품종이며중립의 조숙종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꿀벌 폐사 예방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