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임산물 불법채취 단속, ‘주먹구구’

박완주 의원,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모든 임산물별 불법채취 조사 실시해야”

산림청 임산물 불법채취 단속, ‘주먹구구

박완주 의원,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모든 임산물별 불법채취 조사 실시해야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단속건수, 2015년 대비 작년 62% 급증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산림청은 산나물·산약초를 제외한 나머지 임산물의 불법채취에 대해서는 수수방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산나물·산약초 단속현황>을 분석한 결과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건수는 2014 1,189, 2015 1,305, 2016 2,119건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2015년 대비 2016년 불법채취 건수는 약 62% 급증했다.

 

동 기간 총 단속건수 4,613건 중 형사입건은 203훈방은 4,410건이다.

입건 203건으로 인한 피해액은 총 22천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5년 대비 2016년 입건건수는76%나 증가했고이에 따라 피해액은54백만원에서 15천만원으로 2.7배나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 건수가 가장 많이 적발된 지역은 전북이1,910건으로 가장 많았고뒤를 이어 충남 513충북 480건 순이다.

반면 불법채취로 인한 형사입건 건수는 경북이 시·도 총계 75건 중 52건으로 69%에 달하면서불법채취 강도가 가장 심각했다피해액은 13천만원으로 시·도 총계 14천만원의 90%를 차지했다산림청 중에서는 남부청이369건으로 가장 많았고이어 동부청176북부청 141서부청 108,그리고 중부청 48건 순이다. 

이처럼 산나물·산약초 불법채취가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고 있지만산림청은 산나물·산약초를 제외한 나머지 임산물 불법채취에 대해서는 관리조차 않고 있다산림자원법 제73조는 제1항은 “산림에서 그 산물을 절취한 자는7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산림청은 산림자원법에 따라 모든 임산물을 대상으로 불법채취 단속을 한다면서도관련 통계는 관리하지 않고 있다.결국 전국적으로 임산물 불법채취가 얼마나 발생하고 있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불법채취가 이뤄지는 임산물 종류에는 봄에는 산나물가을에는 버섯과 수실류그리고 겨울에는 겨우살이 등 다양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완주 의원은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존재하는 산림청이 임산물 불법채취 현황마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산림청은 즉각 불법채취가 벌어지는 모든 임산물을 대상으로 관리 대상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나아름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협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 발대식 개최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 임직원으로 구성된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봉사단’은 8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신영리마을에서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 발대식을 개최하고, 관내 농가 8가구를 대상으로 집고치기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이병진 국회의원, 정장선 평택시장, 강정구 평택시의회 의장 등 180여 명이 참석하여 봉사단원들을 격려하고, 마을회관 기증품 전달 및 담장 페인트칠과 도배 등 노후 농가 시설 개선 활동을 펼쳤다. 농협중앙회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봉사단’은 2005년 건축, 전기, 기계 등 전문기술을 보유한 농협 직원들의 자발적 재능기부로 시작하였으며, 현재까지 총 185회의 봉사활동을 통해 고령농업인과 장애인, 다문화·소년소녀 가정 등 취약계층 1,031가구에 쾌적한 보금자리를 만드는데 노력해왔다. 강호동 회장은 “사랑의 집고치기 농가희망 봉사활동을 통해 희망찬 농촌을 만들기 위한 주거환경 개선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농업인과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새로운 대한민국 농협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포승읍 신영2리 이중헌 마을이장은 “춥고 오래된 집에서 불편하게 지내시는 주민들을 볼 때마다 안타까웠는데 이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