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강원 고랭지 감자 역병 발병 대비해야!
고령지노업연구소, 고온 다습한 날씨 보호살균제 살포 등 역병 방제 당부
강원도 일대 고랭지 씨감자 재배지에 10일∼16일 사이 감자역병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주의가 요구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감자역병 예찰 프로그램을 통해 강원도의 고랭지 감자 재배지의 역병 발생을 예측한 결과, 10일부터 역병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돼 ‘감자역병 발생’을 예보하고, 해당 지역 농가와 씨감자 생산 기관에 철저한 방제를 당부했다.
감자역병(Phytophthora infestans)은 서늘한 온도(10∼24℃)와 다습(상대습도 80% 이상)한 조건에서 발생하는데, 대관령 지역 감자 재배지의 최근 기상조건을 고려할 때, 7월 10일∼16일 사이에 역병 발생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강원도 내 고랭지 지역의 씨감자를 주로 재배하는 강릉시 왕산면, 평창군 대관령면, 홍천군 내면 일대에서는 오늘부터 감자역병으로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역병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7월 10일 이전에 밭에 감자역병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보호용 살균제를 살포해서 병원균이 감자에 침입해 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한다. 7월 10일 이후 밭에 감자역병이 발생한 것이 확인된다면 빠른 시간 내에 치료용 살균제를 살포해야 감자역병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감자역병은 감자의 생육기 중에 환경 조건만 충족되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으며, 밭에 역병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7일∼10일 간격으로 살균제를 뿌려야 한다.
감자역병 보호용 살균제는 만코제브(mancozeb), 사이아조파미드(cyazofamid),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파목사돈(famoxadone),플루아지남 등이 있으며, 치료용 살균제로는 디메토모르프(dimethomorph), 에타복삼(ethaboxam), 사이목사닐(cymoxanil) 등이 있다.
감자역병은 병의 진행과 전염속도가 빠르고 심하면 식물을 죽게 할 수 있으므로 발생 초기에 적절한 방제를 하지 않으면 일주일 이내에 전체 포장으로 퍼져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감자역병 발생 전후에 보호용 살균제와 치료용 살균제를 알맞게 사용해 감자역병을 예방하고 확산을 막아야 한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지삼녀 농업연구사는 “감자밭 안에 물이 고인 곳 주변을 자세히 관찰해 역병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는 보호용 살균제를 살포하고, 이미 역병이 발생했으면 계통이 다른 치료용 살균제들을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번갈아 살포해야 방제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