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병원균 밀도 특정수준 넘어서면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 가능성 커

농촌진흥청, 3년간 주요 재배지 조사…밀도 특정 수준 넘어서면 병 급증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인삼 이어짓기(연작) 장해의 원인인 뿌리썩음병원균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인삼을 심는 시기에 병원균 밀도가 특정 수준을 넘어서면 병 발생이 크게 느는 것으로 나타났다. kenews.co.kr

 

인삼 뿌리썩음병의 주요 원인균은 ‘일리오네트리아 라디시콜라 종 복합체(Ilyonectria radicicola-species complex)’로, 같은 밭에 인삼을 연속적으로 재배하는 경우 뿌리를 썩게 만든다.

 

 

농촌진흥청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인삼 재배지를 대상으로 연생별 병원균 밀도와 발병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충북 괴산과 강원 홍천 등 5∼6년근을 재배하는 19개 재배지에서 병원균 밀도를 분석한 결과, 뿌리썩음병 발병률 1% 미만인 3곳을 제외한 나머지 재배지에서는 토양 속 병원균 밀도가 100SQ를 넘어서면서부터 병 발생이 증가했다.

 

2017년 묘삼을 이식한 충북 괴산과 강원 횡성, 홍천 등 24개 재배지에서도 2019년 4년생 재배부터 뿌리썩음병원균 밀도가 발병 한계점인 100SQ까지 증가하며 병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2018년 3년생 재배 때는 대부분 지역에서 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뿌리썩음병의 발병 위험은 일차적으로 토양 속 병원균 밀도가 한계점인 100SQ를 넘는 경우 높아지고, 토양환경 등 이차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확산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020년 인삼 재배가 처음 시작된 예정지 155곳의 토양 속 병원균의 밀도를 분석한 결과, 발병 한계점 이상인 지역은 48곳으로 전체의 31%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재배지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현동윤 인삼과장은 “인삼 뿌리썩음병 피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에서 병원균의 밀도를 간단히 진단할 수 있는 항체 진단키트와 분석용 토양 시료 준비 안내서를 개발 중이다.”라며, “내년에는 농림축산식품부, 도 농업기술원과 협력체계를 마련해 농가가 직접 진단을 의뢰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나남길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진원, 지역농협과 손잡고 폭염 안전캠페인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최근, 전북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익산원예농협 본점에서 익산원예농협과 공동으로 폭염 대응 및 기후 재난 예방을 위한 안전 캠페인을 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늦더위가 일상화되면서,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과 농업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농진원은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지역 중심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에는 농진원 및 익산원예농협 직원 등 관계자 15명과 지역 주민들이 동참했다. 현장에서는 농업인과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응급조치 요령이 안내됐으며, 폭염 상황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폭염 안전 5대 수칙’을 중심으로 한 홍보 활동이 전개됐다. 이와 함께 양산, 생수, 보냉컵 등 폭염 대응을 위한 안전 물품이 배부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폭염 안전 5대 수칙’은 충분한 물 섭취, 바람과 그늘 활용, 규칙적인 휴식, 보랭 장구 사용, 응급조치 숙지로 구성돼 있다. 또한, 농진원은 캠페인 현장에서 자체 안전 인프라와 대국민 서비스를 함께 소개했다. 종합분석동 로비에 마련된 무더위 쉼터 운영 상황을 공유하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