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북한 식량생산 478만톤에 그쳐...전년비 4만톤↓

- 농촌진흥청, 2024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발표
- 기상 여건, 병충해 발생 및 비료 수급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북방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2024년도 북한 식량작물 생산량’ 추정 결과를 발표했다.

 

북한 지역의 기상 여건, 병충해 발생 및 비료 수급 상황, 국내외 연구기관의 작황 자료, 위성영상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올 한 해 북한에서 생산된 식량작물은 총 478만 톤으로, 2023년도 482만 톤보다 4만 톤(0.8%)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작물별 생산량은 쌀 215만 톤, 옥수수 161만 톤, 감자·고구마 54만 톤, 밀·보리 28만 톤, 콩 18만 톤 및 기타 잡곡 2만 톤이다.

 

쌀 생산량은 작년 대비 4만 톤(1.9%)이 증가했다. 벼 이앙기 및 초기 생육기(5∼6월) 기온과 일조가 매우 좋아 초기생육이 양호했으나, 이삭 형성기(7월) 집중호우로 일부 지역 침수 피해가 발생했고, 등숙기(8∼9월) 고온으로 벼알 무게가 감소해 수량성은 전년보다 다소 감소(420kg/10a→ 414kg/10a)했다.

 

하지만 벼 재배면적이 늘어나(3.4%) 쌀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옥수수는 작년 대비 9만 톤(5.3%)이 감소했다. 생육 초·중기(5∼6월) 강우량이 적당해 생육이 양호했으나, 개화기(7월) 일부 지역에서 집중호우로 개화·수정 장해가 발생했고, 등숙기(8∼9월) 고온으로 등숙이 불량해 옥수수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감자·고구마는 작년 대비 4만 톤(6.9%)이 감소했다. 감자와 고구마는 생육 중‧후기(봄감자: 6월, 여름감자‧고구마: 6월, 8∼9월)에 가뭄 또는 고온으로 덩이줄기(감자)‧덩이뿌리(고구마) 형성과 비대가 충분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밀·보리는 작년 대비 6만 톤(27.3%)이 증가했다. 가을파종 밀·보리는 1월 온난화로 월동이 유리했고, 5월까지 적당한 기온과 강수량으로 지상부 생육이 양호해 수량성이 전년 대비 증가(183kg/10a→197kg/10a)했다. 재배면적 또한 증가(19.3%)해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콩은 작년 대비 1만 톤(5.3%)이 감소했다. 파종기(5월)에 적절한 강우로 입모 확보에 유리했으나, 신장기(6월) 한발과 개화기(7월) 많은 강우로 습해가 발생했고, 콩알이 커지는 시기(8∼9월)에 고온으로 종자 무게가 줄어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올해 북한 지역의 여름작물 생육기간(5∼9월) 평균기온은 21.3도(℃)로 작년보다 0.3도 높았고, 강수량은 914.4㎜로 작년보다 27.3㎜ 많았다. 일사량은 2801.1MJ로 작년보다 33.9MJ 많았다.

 

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이경태 과장은 “올해 북한 지역 기상이 5월까지는 식량작물을 생산하기에 전반적으로 양호했으나, 7월 많은 강수량과 8∼9월 고온으로 인해 식량작물 생산량이 작년보다 다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가 소득보장보험 전면 도입!...농업관측 고도화와 온라인시장도 박차
【집•중•조•명】농식품부사업 어떻게 전개될까? - 농식품 5대 민생패키지...4+4 구조전환·혁신 프로젝트 '더 나은 농업·농촌의 미래' - 농촌 중요사업...농업인 소득 안전망 본격 가동, 먹거리 수급안정 상반기 집중 지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더 튼튼한 민생, 더 나은 농업·농촌의 미래'라는 목표로 2025년에 추진해 나갈 주요 사업계획들이 발표됐다. 이를 위해 먼저, 농식품부는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내수 부진 등 어려운 민생 여건을 고려하여 농식품 5대 민생 안정 패키지를 중심으로 농업인과 국민의 삶을 안정시키는 데 총력을 다한다. 아울러, 농업·농촌 전반의 구조개혁과 함께 새로운 성장모델을 만들어 나간다는 것. 농지, 쌀 산업 등 농업·농촌 4대 구조개혁을 본격화하고, 미래 세대를 준비하기 위한 新산업 4대 혁신 프로젝트와 동물복지 및 환경친화적 농축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로 했다. 세부내용을 들여다 봤다. <편집자 주> ◈ 농식품 분야 5대 패키지 어느곳에 집중 지원? 우선, 직불·수입안정보험 중심으로 농업인 소득안정 모델을 강화하고 서비스 제공방식 전환으로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혁신적으로 제고한다. 농업인들의 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