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해썹인증원, 스마트 해썹 도입 가속화...스마트센서 실증 통해 식품 안전관리 강화

- 즉석섭취식품 안전관리,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맞이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과  GS리테일 자회사인 ㈜후레쉬서브(대표 권영환, 즉석섭취식품 제조업)는 10월 8일(화)에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실증업체인 ㈜후레쉬서브 오산공장에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도입 활성화 및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고도화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제조산업의 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 과제로 수행 중인 “IoT 기반 HACCP 관리모델 개발 연구” 사업(3개년)을 통해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15종을 개발했다.

 

주요 개발 센서는 사물인터넷(IoT)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중요관리점 데이터 자동 추출, 자동 전송 및 기록 관리 표준 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체계를 제공하는 센서이다.


1인 가구의 증가 및 바쁜 현대인의 생활 패턴 변화와 간편한 식사에 대한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으로 즉석섭취식품의 소비가 급증하며 식품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데, 해썹인증원은 이에 발맞추어 즉석섭취식품 제조업체인 ㈜후레쉬서브에 염소자동측정센서를 실증 적용하였다.

 

기존의 수동 잔류염소농도 측정 방식에서 벗어나 유리잔류염소만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소독 공정의 식품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이를 통해 ㈜후레쉬서브는 보다 안전한 식품 안전관리 체계를 운영하게 되었다.

 

 

㈜후레쉬서브 품질담당 이문희 팀장은 “스마트 센서 도입 전 세척소독공정의 잔류염소는 잔류염소 측정 페이퍼나 전기전도방식의 측정기를 사용하였는데, 측정값의 편차가 크고 작업환경에 의한 부식 등 고장으로 연간 약 400만원 정도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부담이 컸다.”라며, “해썹인증원에서 개발한 염소자동측정센서를 도입 후 전극을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유리염소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내구성이 좋아 유지비용 절감효과도 얻었다.”라고 말했다. 

 

해썹인증원 한상배 원장은 “즉석섭취식품의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현장 점검을 통해 스마트해썹 및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현장 의견을 반영하여 식품산업 전반에 걸친 스마트센서 고도화 및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인증원은 식품특화 스마트센서(15종)와 맞춤 가능한 키트(KIT)의 지침서를 기업에 배포하고 누리집에 게시함으로써 도입 비용 최대 90% 절감 효과 등 사회적 비용 절감에 기여했으며, 앞으로도 식품기업들이 스마트해썹을 도입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