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생명과학&신기술

농진원, ‘AFRO 2024’투자유치 주목받아

- 고금리 시대, 벤처투자 유치를 위한 족집게 과외 시간 가져
- 글로벌 전문가를 통해 농식품 분야 트렌드를 한눈에

 

최근 고금리 기조로 인해 벤처투자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농식품 분야 스타트업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는 행사가 열렸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 이하 농진원)이 주관한 '2024 농식품 테크 스타트업 창업 박람회(AFRO 2024)'가 그 주인공이다.


지난 25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이번 박람회는 총 22개의 다채로운 부대행사를 선보이며 농식품 기술 분야의 종합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농진원에서 벤처투자 지원을 전담하는 부서인 벤처투자지원팀이 주관한 두 개의 투자유치 지원 프로그램이 참가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첫째 날 열린 '농식품 액셀러레이팅 참여기업 동창회(Alumni)'에서는 지난 5년간 농진원의 지원을 받은 198개 스타트업과 대기업, 투자사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기업과 투자사들의 '리버스 피칭' 시간을 통해 스타트업들은 잠재적 투자자들의 관심사를 직접 들을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가졌다.


이어 둘째 날 개최된 '푸드테크 글로벌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 시장 진출과 해외 투자 유치 전략을 논의했다. 
"Forward Fooding"의 알레시오 단티노 대표는 한국 식품기술 스타트업들의 기술수준이 높아 글로벌 투자 유치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의 벤처투자 시장은 고금리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2022년 대비 약 4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AFRO 2024의 투자유치 지원 프로그램들은 농식품 스타트업들이 투자유치 전략을 세우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다.


행사에 참가한 한 스타트업 대표는 "최근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이번 행사를 통해 여러 투자사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어 큰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전영걸 농진원 벤처창업본부장은 "앞으로도 농진원은 농식품 스타트업들의 자금 조달과 성장을 위해 더욱 다각화된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라며, "AFRO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우리나라 농식품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기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육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전국한우협회, 국회 ‘한우법 통과’ 뜨겁게 환영!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탄소중립에 따른 한우산업 전환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한우법)이 마침내 통과되었다. 이는 8만 한우농가들에게 역사적인 날이며, 한우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여는 중대한 계기가 되었다. 이에, 농가들의 절박한 외침에 귀 기울여 법을 발의하고 끝내 제정까지 이끌어 준 국회와 생산단체와 협의해 한우법의 발전과 특수성을 반영해 준 정부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한우법은 FTA로 인한 시장개방 속에서 체계적인 육성과 소비촉진을 위해 2014년 ‘한우산업발전법안’으로 처음 발의된 후 제21대 국회에서 발의돼 작년 5월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尹대통령의 재의요구권으로 한 차례 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하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제22대 국회에서 다시 재추진한 끝에 마침내 11년만에 통과되는 값진 성과를 이뤘다. 한우법은 한우산업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자, 지속가능한 한우산업의 미래를 위한 교두보이다. 한우법 통과는 당연한 수순이자 시대적 요구였다. 이번 한우법 제정을 통해 한우산업의 안정적인 수급과 가격안정, 그리고 후계농이 미래를 걸 수 있는 산업 환경이 조성되길 간절히 바란다. 더 이상 한우파동으로 인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