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유통

한우 홍콩 수출길 '청신호'...수출확대 기대

- 한우협회 김삼주 회장 "홍콩 한우 수출 확대에 더 노력"
- 홍콩에서도 '한우데이' 행사 개최...한우 우수성 알리는데 더욱 매진


전국한우협회(회장 김삼주)는 홍콩 한우 수출량 확대를 위해 11월 11일 홍콩 침사추이에서 2023 홍콩 K-Beef 한우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현지 소비자 참여 확대를 위해 관광객들로 붐비는 쇼핑, 관광 명소 1881 헤리티지 야외 광장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우의 맛과 한우먹는 문화를 알리기 위해 행사장에 한우카페와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홍콩시민과 홍콩을 방문한 세계인에게 한우고기를 판매하고 시식·문화체험·K-팝 버스킹 공연도 펼쳤다.

기념식에선 이번 홍콩한우데이 행사에서는 홍콩 한우 수출 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현지 수입업체 브라이트존(피플마켓), 엘리트(수퍼팜), 오레올(파이브그램), 풀럼(설하멱), SHHK 등 5개 홍콩 현지 바이어사에 감사패를 전달하고 우수 한우판매점으로 시상했다.

한편, 국내 럼피스킨 발생 및 생산비 증가 등 한우산업은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한우협회는 이번 홍콩 한우데이 행사에서 정부·공공기관과 함께 한우고기 우수성과 이력제 등 신뢰성 높은 유통체계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향후 수출 확대를 위한 청신호를 켰다.

특히, 한우 생산부터 유통과정 및 등급정도 등 모든 이력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는 QR코드 이력제 시스템으로 다른 쇠고기 수출국과의 차별성이 부각됐다. 홍콩 현지 수입업체들은 QR코드 정보 확인에 관심을 보이며 한우고기에 큰 신뢰감을 내비쳤다.

 


14일 현재, 홍콩과 검역협상으로 럼피스킨 발생지역의 한우고기도 홍콩수출이 가능토록 합의된 만큼, 홍콩의 한우 수입업체에 철저한 유통 시스템으로 안전한 국내 식품시장 상황과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여 홍콩 한우 수출량을 늘리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장은 “홍콩은 한우 수출이 처음 시작된 곳이자 수출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 한우 세계화를 위한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 며 “기쁘고 좋은날, 특별한날 소중한 사람과 한우고기를 먹는 한국의 식문화가 홍콩에서도 많이 알려져 고급 레스토랑부터 가정소비까지 폭넓은 소비가 이뤄지고 한우 수출량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치유농업, 농가 이전·사업화 실증으로 확산 기반 구축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올해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4종)의 농장이전(6개소) 및 사업화 실증을 완료하고 22일 오송 H호텔에서 결과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실증사업은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지역 수요농장(6개소)에 맞춤형으로 이전하여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단위 사업화모델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진됐다. 운영기관인 농진원은 지난 3월 농촌진흥청에서 치유농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고, 6개 지방농촌진흥기관과 협력하여 실증농장과 지역 내 치유대상 희망자에게 적용하는 사업화모델을 11월까지 약 9개월간 구축해 왔다. 이번 사업에서 농장에 이전된 농진청 프로그램(4종)은 경도인지장애 및 소외노인을 비롯하여 암진단 경험자와 일반인까지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122명)가 참여하였고, 의미 있는 치유 효과가 재현됨을 확인했다. 실증과정에서 농진청이 개발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각 농장이 가진 자원(농업자원, 시설, 인적역량 등)에 맞춤형으로 지원하여, 서비스 제공농장의 운영 역량을 높여 주었고, 프로그램 참여자와 치유대상 희망자를 연계해 준 지역 보건복지 수요기관 등의 만족도 또한 높아 향후 이전·실증 프로그램의 서비스 상용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