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한우 홍콩 수출길 '청신호'...수출확대 기대

- 한우협회 김삼주 회장 "홍콩 한우 수출 확대에 더 노력"
- 홍콩에서도 '한우데이' 행사 개최...한우 우수성 알리는데 더욱 매진


전국한우협회(회장 김삼주)는 홍콩 한우 수출량 확대를 위해 11월 11일 홍콩 침사추이에서 2023 홍콩 K-Beef 한우데이 행사를 개최했다.

현지 소비자 참여 확대를 위해 관광객들로 붐비는 쇼핑, 관광 명소 1881 헤리티지 야외 광장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한우의 맛과 한우먹는 문화를 알리기 위해 행사장에 한우카페와 팝업스토어를 운영했다. 홍콩시민과 홍콩을 방문한 세계인에게 한우고기를 판매하고 시식·문화체험·K-팝 버스킹 공연도 펼쳤다.

기념식에선 이번 홍콩한우데이 행사에서는 홍콩 한우 수출 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현지 수입업체 브라이트존(피플마켓), 엘리트(수퍼팜), 오레올(파이브그램), 풀럼(설하멱), SHHK 등 5개 홍콩 현지 바이어사에 감사패를 전달하고 우수 한우판매점으로 시상했다.

한편, 국내 럼피스킨 발생 및 생산비 증가 등 한우산업은 악재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한우협회는 이번 홍콩 한우데이 행사에서 정부·공공기관과 함께 한우고기 우수성과 이력제 등 신뢰성 높은 유통체계를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향후 수출 확대를 위한 청신호를 켰다.

특히, 한우 생산부터 유통과정 및 등급정도 등 모든 이력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는 QR코드 이력제 시스템으로 다른 쇠고기 수출국과의 차별성이 부각됐다. 홍콩 현지 수입업체들은 QR코드 정보 확인에 관심을 보이며 한우고기에 큰 신뢰감을 내비쳤다.

 


14일 현재, 홍콩과 검역협상으로 럼피스킨 발생지역의 한우고기도 홍콩수출이 가능토록 합의된 만큼, 홍콩의 한우 수입업체에 철저한 유통 시스템으로 안전한 국내 식품시장 상황과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여 홍콩 한우 수출량을 늘리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김삼주 전국한우협회장은 “홍콩은 한우 수출이 처음 시작된 곳이자 수출량이 가장 많은 곳으로 한우 세계화를 위한 첨병역할을 하고 있다” 며 “기쁘고 좋은날, 특별한날 소중한 사람과 한우고기를 먹는 한국의 식문화가 홍콩에서도 많이 알려져 고급 레스토랑부터 가정소비까지 폭넓은 소비가 이뤄지고 한우 수출량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