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김장비용' 최소 20만 4,569원 소요될 전망

-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가락시장(가락몰) 김장재료 구매가격 조사․발표
- 4인 가족 기준(신선배추 20포기) 가락몰 김장비용은 부대비용을 포함해 20만 4,569원 소요 전망
- 배추, 무, 대파, 건고추 등 김장 채소류는 여름철 잦은 우천, 고온현상 등 이상기후로 전반적으로 작황 부진하여 생산감소 예상
- 김장철 앞두고 정부가 비축 물량을 방출 하는 등 물가 안정을 위한 각종 대책을 시행하며 시세는 안정세 예상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 문영표)는 김장철을 맞이하여 알뜰한 김장재료 장보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가락몰 김장재료 구매가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1월 6일 가락시장에 있는 가락몰 내 점포를 대상으로 주요 김장재료 12개 품목의 구매 가격을 조사한 결과, 신선배추를 이용하는 경우 204,569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락몰은 가락시장에 위치하여 타 유통업체에 보다 김장재료를 저렴하고 신선하게 판매한다. 배추, 무 등 채소류 뿐 아니라 김장에 빠질 수 없는 식재료인 굴, 생새우(동백하), 돼지고기(수육용) 등의 수축산물, 새우젓, 멸치액젓 등 젓갈류까지 김장재료를 원스톱으로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

 

배추는 인접한 도매시장 배추 매장에서 구매하면 좀 더 저렴하다.

여름철 잦은 우천, 고온현상 등 이상기후로 인해 김장 채소류 작황이 전반적으로 부진하여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시세 상승이 예상된다. 이에 정부가 김장철 물가 폭등에 대비하여 비축 물량을 최대한 공급하고 농수산물 할인을 지원하는 등 물가 안정 대책을 시행하여 시세는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배추․무= 가을배추는 주요 산지 정식 후 잦은 우천, 고온 등으로 생육 부진하여 작황 양호하여 출하량 많았던 전년에 비해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전년 대비 시세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을무는 전년 대비 재배 면적이 증가하였지만 고온장해 등으로 작황 부진하여 생산량 증가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파․쪽파= 대파는 정식 이후 지속된 우천으로 전년 대비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며 상품성 또한 부진하여 잔파 출하가 증가하겠다. 쪽파는 전년도 고시세 영향으로 정식 면적은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작황 저조로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마늘․건고추= 마늘은 전년 대비 생산량이 증가하며 수급은 안정적인 상황이다. 하지만 작황이 부진하며 저품위 마늘 출하가 대폭 증가하였다. 건고추는 전년 대비 재배 면적이 줄어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공사는 본격적인 김장철에 접어들어 11월부터 공사 누리집 통해 가락몰 김장비용 조사 결과를 주 1회 공개하고 김장철 주요 품목 거래동향(물량 및 가격)을 매일 제공할 예정이다.

또, 공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11월 15일 가락시장에서 진행되는 사랑의 김장나눔 축제 현장 영상을 공개하는 등 다양한 유통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서울우유 “국내 최고의 젖소 찾는다!”
. 서울우유협동조합(조합장 문진섭)이 오는 17일부터 18일까지 양일간 경기도 안성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에서 ‘제11회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주최하고 서울우유 우유군검정연합회가 주관하는 ‘서울우유 홀스타인 경진대회’는 1997년부터 시작된 낙농가 최대 축제로,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국내산 홀스타인 품종 젖소 중 농림축산식품부 젖소 능력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유량과 건강 상태가 뛰어난 젖소를 선발해 국내 낙농산업의 우수성을 알리고, 유제품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는 60개 농가에서 엄선한 120두의 젖소가 출품돼 국내 최고의 젖소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합을 펼칠 예정이며, 특히 올해 11월 캐나다 ‘로얄 윈터페어 홀스타인 쇼’ 심사를 맡은 조엘 르파쥬 심사원을 초빙하여 심사 전문성을 강화한다. 많은 관람객이 방문하는 낙농가 축제인 만큼 부대행사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우유, 발효유, 치즈 등 유제품 시식 행사와 함께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했다. 뿐만 아니라 국내 낙농산업의 기술력을 만나볼 수 있는 로봇착유기, 사료, 첨가제, 낙농기계 등 약 50여개의 낙농기자재 업체 전시회도 열린다. 또한, 낙농가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