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왜 증가하나?

- 최근 5년간 전국 총 227만 그루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 신정훈의원, “재선충 피해 증가 막기 위한 과학적 방제사업 필요”

감소추세이던 소나무재선충병 발생이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로 전환하며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신정훈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화순)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통계’ 자료에 따르면, 소나무재선충이 발생한 나무 수는 2017년 686,422 그루에서 2018년 490,693그루, 2019년 406,362그루, 2020년 307,919그루로 꾸준히 감소해왔으나 지난해에는 378,079그루로 다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역별로는 경북, 경남 등 영남지역의 피해가 가장 많았다.

산림청에서는 현재 기준(8.31)으로 전국 136개 기초지자체에서 소나무 재선충병이 발생했으며, 14개 지자체는 청정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발생지역 중 동해, 충주, 완주, 함평, 화순, 나주 등은 올해 신규·재발생 지역이다.

신정훈 의원은 “소나무재선충병은 산림을 황폐화시키고, 임업 소득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산림재해”라며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증가와 피해확산을 조기에 저지할 수 있도록 치밀한 방제대책과 과학적 예측모델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아름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축협 조합장 불법선거’ 강력 대응
농협중앙회(회장 강호동)는 2027년 3월 3일에 실시 예정인 제4회 전국 동시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불법ㆍ부정선거 근절을 위한 선제 조치로‘선거관리 사무국’을 조기에 신설하는 등 공명선거 구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동시조합장선거가 전국 단위 선거로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의 지도ㆍ감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농축협 전체의 신뢰도 제고와 공정한 선거문화 정착을 위한 선제적 조치다. 선거관리 전담기구는 조합장선거일 기준 1년 2개월 전인 2026년 1월 1일부터 가동할 예정이며, 중앙본부 회원지원부 내‘선거관리사무국’을 신설하고 기존의 선거관리 인력 3명을 9명으로 확충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의 협력체계와 선거업무 집중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각 지역본부와 시군지부에도‘선거관리사무국’산하 조직을 편성해 선거관리 전담 조직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선거관리와 부정선거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또한, ‘선거관리사무국’내에는 부정선거 상담ㆍ신고센터를 운영해 ▲ 부정선거 예방지도 ▲ 법률상담 ▲신고접수 ▲ 신속한 내부조사를 통한 고발조치 등 선거 전체를 포괄하는 업무를 수행하여 불법 행위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