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우유는 신선도가 생명" 국내산 우유 신선도 뛰어나

- 국내 소비자 인식, 신선하고 품질이 뛰어난 국산 우유 선호 
- 신선도, 맛, 품질 면에서 최고 수준,수입산 멸균우유 비교불가 국내 우유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일부 언론 매체를 통해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다. 최근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채널을 통해 독일, 폴란드, 호주산 등 수입산 멸균우유를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면서, 일부 소비자들은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한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카페 커뮤니티 상에서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한 근거가 불확실한 내용들이 난무해 팩트 체크가 필요한 시점이다.

 


실제로 수입산 멸균우유는 유통기한이 대개 1년으로 설정되어 있어,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보장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유통과정도 길어 국내에 들어오기까지 약 한 달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해 국내 신선우유의 경우, 착유 후 적정온도로 바로 냉각시킨 후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신선한 원유 상태 그대로 2~3일 내 유통되는 시스템이다. 때문에 국내 신선우유는 맛과 신선함,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의 ‘우유 섭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안전성과 품질 검증이 미흡하고. 맛에 대한 신뢰가 없는 수입산 보다는 국내 신선우유를 선호한다고 나타났다.

유유자조금관리위원회가 지난 해 국내 우유 소비자 5,0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우유 섭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의 86%(4,356명)가 멸균우유가 아닌 일반우유를 섭취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우유를 선택한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가공도가 낮아 자연식품에 가깝고 신선해서(51.9%), ▲맛이 좋아서(51.6%), ▲품질측면에서 믿음이 가서(22.9%), ▲영양이 풍부해서(20.1%)순으로 나타나 국내 소비자들이 우유를 선택할 때 신선함, 맛, 품질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산 멸균우유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지에 대한 설문에는 일반우유를 선택한 응답자 중 55%가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구입할 의향이 없다가 51.4%,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23%, 구입할 의향이 있다는 의견은 25.6%에 불과했다.
수입산 멸균우유 구입을 꺼리는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원산지가 수입산이라서(37.4%), ▲유통기한이 최대 1년으로 품질에 의구심이 들어서(36%),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의 안전성 보장이 안 돼서(32.3%), ▲첨가물에 대한 염려(24.9%)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멸균우유 소비자 층에 대한 조사도 이뤄졌다. 조사 대상자 5,088명 중 평소 멸균우유를 섭취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732명(14.4%)으로 집계됐다. 그 중 9.9%가 국내산 멸균우유를 섭취한다고 응답했으며, 나머지 4.5%가 수입산 멸균우유를 마신다고 응답했다.

 


국내산 멸균우유를 섭취하는 응답자에게 수입산 멸균우유를 구입할 의향이 있는 지 묻는 조사에서는 그 중 64%가 구입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2개 복수응답)로는 ▲생산과정 및 유통과정의 안정성 보장이 안돼서(38.9%), ▲우유는 기본적으로 신선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38.2%), ▲원유의 원산지가 수입산이라서(25.5%)라고 응답해 소비자들이 우유를 선택할 때 신선도와 안전성 보장에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멸균유란 ‘생유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완전히 사멸시킨 우유’를 뜻하며 130도~150도 사이의 고온에서 2~5초가량 가열해 균을 100%제거한 우유다. 빛이 들어가지 않는 포장 용기에 넣어 보관하며 일반 우유보다 유통기한이 길다. 국내 멸균우유 유통기한은 12주이며, 신선우유 유통기한은 11~14일이다. 국내 멸균우유도 유통기한을 1년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안전성과 품질을 고려해 소비자에게 질 좋은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유통기한을 12주 내외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이홍구 교수는 “국내 우유는 세균수 1A, 체세포 1등급 원유를 사용하여 제품에 표기하고 있고, 원유 검사를 통해 나온 부적합률이 0.02%(2021 상반기 기준)로 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반면 수입 멸균우유는 원유등급을 확인할 방법도 없고 안전성도 검증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우유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진 요즘, 국내 우유의 우수성과 품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절실하며,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는 무분별한 정보를 배포하기 전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한 정확한 검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