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쌀의 날...쌀 가공품들 잇따라 선보여

- '더미식 즉석밥' 등 식품주류업계 앞다퉈 100% 국산 쌀 제품으로 쌀 소비 촉진에 앞장
- 쌀의 날,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 56.9kg, 1990년 소비량 대비 절반 이하 감소

 

8월 18일은 ‘쌀의 날’이다.

쌀 ‘미’(米)를 풀어보면 8(八)자 2개와 10(十)자가 있어 8월 18일로 정했다. 모를 심고 수확하기까지 농부의 정성 어린 손길이 88번이 필요하다는 속깊은 의미도 담겨있다.

우리 식문화의 중심이자 원천인 쌀 소비가 빠르게 줄고 쌀 값까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연간 1인당 쌀 소비량은 56.9kg으로, 1990년도 소비량인 119.6kg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마침 식품주류 업체들이 첨가물 없이 100% 국내산 쌀만으로 만든 제품들을 잇따라 출시하면서 국산 쌀 소비 촉진에 앞장서고 있다.

하림은 갓 지은 집밥과 똑같은 ‘The미식(더미식) 즉석밥’ 11종을 지난 5월부터 선보여 눈길을 끌고 있다. 100% 국산 쌀과 물로만 지어 쌀알 한 알 한 알이 살아있고 본연의 풍미를 살린 것이 강점이다.

 

하림, ‘더미식 즉석밥’, 박재범의 ‘원소주’, 빚은 ‘포켓몬 설기’ 등 쌀 100% 제품 잇따라
식품주류업계, 100% 국산 쌀을 재료로 만든 제품과 강점 통해 쌀 소비 증진 효과 기대


또한 냉수 냉각이 아닌 온수로 천천히 뜸을 들이는 공정으로 밥알의 식감을 살렸다. ‘더미식 백미밥’과 함께 ‘현미밥’, ‘메밀쌀밥’, ‘귀리쌀밥’ 등 11종을 출시해 소비자들이 취향대로 고를 수 있도록 다양화했다.

SPC삼립의 떡 전문 브랜드 빚은은 16일 100% 국내산 쌀로 만든 포켓몬 떡을 선보였다. 포켓몬스터 캐릭터 모양으로 초코잼을 넣은 '피카피카 피카츄 설기' '초코촉촉 잠만보 설기' '초코초코 꼬부기 설기'와 딸기잼을 넣어 상큼한 '딸기팡팡 푸린 설기' 등 4종을 출시했다.

래퍼 박재범 소주로 유명한 ‘원소주’와 편의점 CU가 배우 김보성을 모델로 출시한 ‘의리남 소주’도 국산 쌀만 100% 사용해 인기를 끌고 있다. ‘오픈런 소주’로도 불리는 원스피리츠의 ‘원소주’는 첨가물을 전혀 넣지 않고 쌀만 사용한 증류식 소주로 감미료를 첨가한 희석식 소주와 달리 깨끗하고 부드러운 맛과 풍미가 특징이다.

 


BGF리테일의 ‘의리남 소주’는 김보성의 유행어 ‘의리’를 테마로 국산 쌀을 사용해 낮은 온도와 압력으로 제조한 감압 증류식 제품이다. 고온을 사용하는 상압 증류 방식과 비교해 이취가 적고 은은한 곡물향과 부드럽고 깔끔한 뒷맛을 자랑한다.

하림 관계자는 “우리 농부의 정성과 국산 쌀의 풍미를 제대로 살린 즉석밥을 만들기 위해 공정과 설비에 대대적으로 투자했고 그 결과가 첨가물과 이취가 없는 100% 국산 더미식 밥”이라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이 국산 쌀을 간편하면서도 취향에 맞게 소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신제품을 개발해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청과, '동반성장' 유공 중기부장관 표창
농산물 유통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한국청과(주)가 농업인 생산자와 농산물 유통업체간의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주목할 점은 이번 표창이 도매시장법인이 동반성장 유공으로 받은 최초의 사례라는 점이다. 한국청과(주)는 11월 25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열린 ‘2025년 동반성장 주간 기념식’에서 농업인 생산자와의 농산물 유통업체간의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으로부터 표창을 수상, 눈길을 끌었다. '동반성장 주간 기념식'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동반성장위원회 및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이 공동 주관하는 정부의 공식 상생협력 행사이다. 대·중소기업 간의 협력 문화를 확산하고 국민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매년 11월 개최되며, 올해 행사는 '동반성장으로 그리는 미래, 함께 만드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청과 박상헌 대표이사는 “농업인 생산자와 상생하는 도매시장법인의 본분에 충실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면서 “농업인 생산자와 유통인, 소비자 모두가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농산물 유통산업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나남길 kenew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청 ‘농장 단위 기상재해 정보’ 모든 시군으로 확대 제공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상기상 현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작물의 기상재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 155개 시군에 서비스한다. 이는 2016년 3개 시군에 서비스를 시작한 지 10년 만의 성과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은 농장 상황에 맞는 맞춤형 날씨와 작물 재해 예측 정보, 재해 위험에 따른 대응조치를 농가에 인터넷과 모바일(문자, 알림톡, 웹)로 미리 알려주는 기술이다. 전국을 사방 30m 미세 격자로 잘게 쪼갠 후 기상청이 발표하는 각종 기상정보를 해당 구역의 고도, 지형, 지표면 피복 상태 등에 맞춰 재분석해 제공한다. 이렇게 하면 이론상 토지대장에 등록된 전국의 모든 농장에 농장 단위로 상세한 기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전국의 4만 2,000여 농가에 ‘농장날씨’, ‘작물 재해’, ‘대응조치’를 서비스하고 있다. ‘농장날씨’는 농장별 기온, 강수량, 습도, 일사량, 풍속 등 11종의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기온은 최대 9일까지, 그 외 기상정보는 최대 4일 전까지 예보할 수 있다. ‘작물 재해’는 작물별로 고온해, 저온해, 동해, 풍해, 수해, 일소해 등 단기에 피해를 주는 재해는 물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