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최고뉴스 2017… ‘개청 50주년 산림비전 선포’

산림청, 언론인·직원 대상 설문조사 ‘10대 뉴스’ 선정

산림청 최고뉴스 2017개청 50주년 산림비전 선포

산림청, 언론인·직원 대상 설문조사 ‘10대 뉴스선정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정유년(丁酉年)을 마무리하며 ‘2017년 산림청 10대 뉴스를 선정·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10대 뉴스는 언론인, 산림청 직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됐다. 문항은 산림청이 올해 배포한 보도자료(1218일 기준 583)를 바탕으로 했다.

 

선정된 뉴스는 산림청, 개청 50주년 맞아 산림비전 선포 강릉·삼척·상주 대형산불 발생 100여년 만에 백두대간 품으로 돌아온 백두산호랑이산림청, '땅밀림 무인 원격 감시시스템' 초기 관측으로 포항지진에 신속 대응 산림 일자리 정책 컨트롤 타워, 산림일자리혁신본부 출범 산림관광 명소! 전국 국유림 경영·경관형 명품숲 10개소 산림청, 33000km 등산로 정보 완전 개방으로 국민 편의·민간사업 지원 산림청장 취임 100, 사람중심 산림자원순환경제 패러다임 도입으로 국민 행복 증진 화재에도 안전한 고층 목조건축 시대연다 한라산 희귀식물 종자, 백두대간수목원 시드볼트로 모이다 등 10건이다.

 

올해 산림청 개청 50주년을 맞아 국립수목원에서 산림정책의 새로운 비전을 선포한 소식(1018)이 가장 주목 받은 뉴스로 선정됐다

이날 산림청은 기적을 넘어 국민의 산림 100이라는 주제로 산림일자리 창출과 생태계 보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 등을 산림비전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강릉·삼척·상주 대형산불 발생(56)’100여 년 만에 백두대간 품으로 돌아온 백두산호랑이’(126)도 국민들의 관심을 모았다.

 

56일 강릉·삼척·상주에서 발생한 대형산불로 수십 년간 가꾸어 온 산림 1,103ha(축구장의 1,522)가 불타고 142억 원에 달하는 재산 피해가 발생해 많은 국민에게 경각심을 안겨줬다

한편, 김재현 산림청장 취임 이후 일자리 정책의 컨트롤 타워인 산림일자리혁신본부 출범(811)도 의미 있는 뉴스로 평가됐다

산림청은 사람중심의 자원순환경제를 구현하기 위해 산림일자리혁신본부를 출범하고 2022년까지 일자리 6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준산 대변인은 산림청 10대 뉴스 선정을 통해 올 한 해 산림 정책을 결산하고 국민관심과 정책성과가 컸던 이슈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라며 내년에는 국민에게 더욱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다양한 산림정책을 마련하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