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소값 190만원 더 받는 노하우(?)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 “우수농장들 전국 평균농장보다 월등하게 사육성적 좋다”

190만원 더 받는 노하우(?)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우수농장들 전국 평균농장보다 월등하게 사육성적 좋다

 

()팜스코(총괄사장 정학상)2017년 고객을 향한 우수농장의 날 퍼레이드를 가졌다. 322일 전남 강진에서 전국 280명의 한우 사장님을 모시고, 우수농장의 날 행사를 가졌다.

이날 열린 팜스코 우수농장의 날 행사에서는 팜스코의 핵심 사양가인 덕림농장(대표 임동추) 명환농장(대표 김명환)의 우수한 성적을 공개하며 경쟁력 있는 한우사업을 만들기 위한 비결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홍열 축우특판부장은 최고가(最高價) 되자는 주제로, 2016년 하반기 청탁 금지법 이후 위축된 소비로 인한 불황의 입구에 있지만, 같은 등급에서도 가격의 격차가 과거에 비해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농장의 수익향상을 위해서는 등급 내에서 높은 가격을 받아야 미래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우수 농장은 전국 최고가를 기록해서 다른 농장보다 월등히 높은 성적을 통해 놀라운 수익을 만들었다, 최고가에 도전을 통한 불황극복을 역설하였다.

이어 박인서 지역부장은 덕림농장과 명환농장의 성적을 공유했다.박부장은 명환농장(대표 김명환)2016년 거세우 22두를 출하해서 전국평균 농장보다 두당 3,124원이 높은 22,208원의 높은 단가를 기록해서 무려 두당 190만원의 추가수익이 발생했고, 덕림농장(대표 임동추)20171월 거세우 5두와 미경산우 6두를 출하했는데, 각각 24,803원과 23,548원의 높은 평균 경락가를 받아서 전국 평균대비 381만원과 361만원의 높은 추가수익을 얻었다"며 주위를 놀라게 했다.

고수익의 비결은 물통청소 및 바닥관리 등의 기본 관리와 우수한 팜스코 제품을 꾸준히 급여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덕림농장 임동추 대표는 “30년간의 한우사육 경험을 회상하며, 과거 저조한 성적을 팜스코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로 극복할 수 있었다. 많은 농가들이 최고가를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며 벅찬 소감을 전했다.

 

마지막으로 팜스코 서부영업본부 3사업부장 배형준 사업부장은 “100두 농장으로 300두 농장의 수익을 만들자, “팜스코와 함께 하면 규모와 상관없이 강한 경쟁력을 갖는 농장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