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산림조합중앙회, 대출 연체금 3,102억원, 5년간 6배 급등!

- 광주지역 연체율 12.35%, 제주지역은 연체금 96배 폭증!
- 연체율 1%대에서 올해 8월 3.71% 증가, 경기 908억, 전남 327억 순으로 연체 많아!
- 정 의원, “연체금 급등은 재정건전성 위협 요인, 연체금 관리 위한 노력 필요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산림조합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여간(2018~2023.8월) 대출 및 연체 건수, 연체금 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출 건수는 2018년 81,547건에서 올해 8월 기준 98,719건으로 21.1%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연체금은 2018년 506억 7,600만원에서 올해 8월 3,102억원 6,900만원으로 무려 6배(512.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 건수도 2018년 1,196건에서, 2019년 1,451건, 2020년 1,341건, 2021년 1,338건, 2022년 1,617건, 올해 8월 기준, 2,356건으로 2018년 대비 97%나 증가했으며, 이로 인한 연체율도 올해 8월 3.71%로 최근 5년여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연체금은 올해 8월 기준, 경기지역이 908억 1,6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남지역 327억 7,700만원, 경남지역 316억 4,200만원, 충북지역 315억 8,000만원, 강원지역 206억 6,500만원, 경북지역 198억 9,500만원, 부산지역 193억 6,600만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지역별 연체율은 광주지역이 12.35%로 가장 높았고, 부산지역 9.96%, 울산지역 5.38%, 대구지역 4.83%, 제주지역 4.6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여간의 연체금 증가율은 제주지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8년 제주지역의 연체금은 3,900만원에서 올해 8월 기준 37억 6,000만원으로 96배 증가했으며, 충북지역도 2018년 11억 8,100만원에서 올해 8월 206억 7,000만원으로 26배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지역도 같은 기간 7억 3,000만원에서 191억 1,000만원으로 26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분별로는 올해 8월 기준, 준조합원의 연체금이 2,107억 1,6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합원 559억 7,300만원, 비조합원 435억 8,000만원 순으로 조사됐으며, 연체율은 비조합원, 5.53%, 준조합원 4.74%, 조합원 1.79% 등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정희용 의원은 “최근 5년간 산림조합중앙회의 연체금이 급격히 증가해, 재정건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며, “대외적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져 가는 상황에 연체금의 급등은 재정위기를 앞당기는 만큼, 연체금 관리를 위한 철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촌진흥청·건국대, ‘치유농업’ 발전 위한 관학 공동연구… 협약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건국대학교(총장 원종필)와 9월 8일 건국대학교에서 이승돈 청장과 원종필 총장을 비롯해 양 기관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치유농업 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건국대 ‘디지털 인문 기반 치유농업 융합연구센터’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촌진흥청에 협력을 제안해 추진됐다. 양 기관은 치유농업 분야에서 △과학적 효과 검증 연구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정책 개선 및 제도적 기반 마련 △전문 인력 양성 △공동 홍보 및 확산 기반 조성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관학의 연구·기술 역량을 모아 농업·인문학·생명공학·의학이 융합된 치유농업 분야 연구개발에 정진할 예정이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치유농업의 외연을 넓히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치유농업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학이 긴밀히 협력하고 실질적 성과 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원종필 건국대학교 총장은 “건국대는 1946년 개교 이래 농업 교육과 연구를 대학의 뿌리로 삼아 성장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