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양계농가 '위생교육' 지원 대책 강화해야

홍철호 의원, “정부는 양계농가에 대한 위생관리교육 실시비용 내년 예산안에 대폭 편성해서, 양계농가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양질의 양계를 할 수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양계농가 '위생교육' 지원 대책 강화해야

홍철호 의원, “정부는 양계농가에 대한 위생관리교육 실시비용 내년 예산안에 대폭 편성해서, 양계농가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양질의 양계를 할 수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현행 축산물위생관리법에 따라 정부가 양계농가 등 축산물영업자를 대상으로 지자체 또는 위생교육기관이 실시하는 위생관리교육에 대하여 국비예산을 지원할 수 있지만, 최근 57개월간 실제 지원액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축산물위생관리법에는 정부가 지자체 또는 위생교육기관이 실시하는 양계농가 등 축산물영업자에 대한 위생관리 교육비용을 전액 또는 일부 지원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바른정당 간사인 홍철호 의원(경기 김포을, 행정안전위원회)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최근 57개월간 양계농가 등 축산물영업자에 대한 위생관리 교육비용을 지원한 실적이 전무했다.

 

정부가 양계농가의 위생 관리 및 교육을 방치한 까닭에, 일부 산란계 농가들이 살충제를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만들었다는 지적이 가능한 대목이다.

 

홍철호 의원은 법률이 정하는 식품안전예산을 정부가 그 동안 지원하지 않았던 것이 밝혀졌다. 정부는 양계농가에 대한 위생관리교육 실시비용을 내년도 예산안에 대폭 편성하여, 양계농가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양질의 양계를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