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신규·소면적' 무인기 활용 농약 늘려

소면적 재배 작물용 95품목 확대… 무인기 농약 등 총 251품목 등록 보급

신규·소면적' 무인기 활용 농약 늘려

소면적 재배 작물용 95품목 확대무인기 농약 등 총 251품목 등록 보급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올 상반기에 새로운 농약 51품목과 소면적 재배작물용 농약 95품목을 확대해 보급했다.

먼저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한 신규 등록 농약은 탄저병, 노균병,응애, 진딧물 등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병해충을 방제하는 농약 51품목이다.

 

사용 용도별로는 테부플로퀸 액상수화제 등 살균제 17품목, 피플루뷰마이드 액상수화제 등 살충제 14품목, 글리포세이트포타슘 액제 등 제초제 15품목 석회황 분제 등 살균·살충제 5품목이다.

특히, 소면적 재배작물 병해충을 방제하는 농약 95품목을 등록해 사용 가능한 농약 수를 늘렸다.

소면적 재배작물용 농약은 경제성이 낮아 농약제조 회사에서 등록을 꺼려 등록농약이 없거나 부족해 작물 수확 후 잔류농약검사에서 부적합률이 높은 실정이다.

 

이번에 등록된 농약은 디페노코나졸 액상수화제 등 살균제 41품목, 비펜트린 수화제 등 살충제 54품목이다. 대상 작물은 상추,들깨, 부추, 셀러리, 겨자채, 참나물 등 55작물이다.

이와 함께 무인기(드론)로 농약을 방제하는 기준이 없어 유인항공기, 무인헬기용으로 등록된 농약을 이용했으나, 관련 기준이 개정돼 무인항공방제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무인항공기용 작물보호제의 범위를 드론(멀티콥터)까지 포함한 관련 기준이 지난 20174월 개정됐다.

이에 따라 기존 무인헬기용으로 등록된 작물보호제 중 105품목은 무인기(드론)로 살포 가능하게 됐다.

 

용도별로는 페녹사닐 액상수화제 등 살균제 40품목, 디노테퓨란액제 등 살충제 41품목, 할로설퓨론메틸.메페나셋 대립제 등 제초제 18품목, 티아디닐.플루벤디아마이드.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등 살균·살충제 7품목이다.

관련정보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공하는 농약정보서비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농약의 상표명, 품목명, 병해충별, 무인기(드론) 활용 가능농약 등 원하는 조건에 맞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농자재평가과 하헌영 농업사무관은 이번에 등록·보급하는 농약은 철저하게 안전성과 효과를 검증했다.”라며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과일이나 쌈채소류를 비롯한 농작물의 안정적인 생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농자재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고랭지 배추 육종’ 민관이 함께 ‘새 판’ 짠다
여름철 고랭지 배추의 재배 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품종 개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민관이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과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은 8월 21~22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고원농업시험장에서 ‘고랭지 배추 재배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육종 전문가 공동연수(워크숍)와 현장 평가회’를 연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민간 종자회사의 배추 육종가와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등 약 50명이 참석한다. 최근 여름철 고온과 가뭄, 집중호우 등 기상 이변이 반복돼 고랭지 배추재배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반쪽시들음병, 꿀통 배추(결구 장해) 같은 생리장해와 병해충이 함께 발생하며, 품질은 물론 수확량까지 줄고 있다. 민간 육종가와 현장 연구자들은 단순한 재배 기술 개선을 넘어서는 ‘혁신적인 육종 전략’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으고, 현안 공유와 함께 해법을 모색한다. 첫날에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김진희 연구사가 ‘팁번* 증상과 반쪽시들음병 저항성 육종 현황’, 국립식량과학원 이영규 연구관이 ‘병해 방제와 육종 전략’, 원재희 전(前) 강원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이 ‘고랭지 배추의 당면 과제와 미래 방안’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