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도드람양돈농협 (주)도드람양돈서비스 정장욱 대표 취임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이영규)의 자회사 (주)도드람양돈서비스의 신임 대표이사로 정장욱씨가 선임되었다.

도드람양돈농협 이사회에서 만장일치의 추천을 받은 정장욱 대표이사는 지난 2일 총회 및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정식으로 신임 대표이사로 취임을 했다.

도드람양돈농협 이영규 조합장과 이사회는 “정장욱 대표이사가 수의사 출신으로 오랜 기간 동안 도드람에서 근무하면서 리더쉽과 능력을 인정받고 조직 내부에서도 덕망이 높아 (주)도드람양돈서비스의 신임 대표이사로 추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정장욱 대표이사는 “도드람은 조합원을 기반으로 한 생산자협동조합형 패커 라는 목표를 가지고 현재 나아가고 있고 (주)도드람양돈서비스는 조합원 농가에 축산컨설팅과 사료 및 AI 공급·지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생산자와 일선에서 역할을 수행하는 만큼 양돈 컨설팅이라는 전문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안정적인 품질의 사료 및 AI 공급에 힘써 조합원 농가의 생산성 향상과 도드람이 패커로 발전하는데 기반이 되겠다.”고 밝혔다.

신임 정장욱 대표이사는 충북대학교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 도드람에 입사하여 최근까지 조합원 컨설팅 업무를 담당하는 지역사업부 총괄부장을 수행했다. 곽동신 기자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응애’ AI로 쉽게 포착... 스마트장비 ‘비전’ 세계 최초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반복되는 겨울철 꿀벌 집단 폐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꿀벌응애’를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기반 ‘꿀벌응애 실시간 검출장치(BeeSion)’를 강원대학교(모창연 교수 연구팀)와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미국에서도 전체 꿀벌 군집의 62%가 폐사하는 등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꿀벌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꿀벌 폐사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꿀벌응애 감염과 그에 따른 바이러스 확산, 방제 약제 내성 증가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꿀벌응애 번식이 활발한 여름철을 집중 방제 기간으로 정하고 전국적으로 대응 중이다. 그러나 꿀벌응애는 벌집 내부에서 서식해 눈으로 관찰하기 매우 어렵고, 특히 여름철 고온 환경에서는 관찰‧방제가 더 힘들어 방제 시기를 놓치기 쉽다. 숙련된 양봉인도 벌통 한 개를 정밀 관찰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리며, 특히 고령 양봉농가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 야외에서 꿀벌응애를 찾아내기가 무척 어렵다. 또한, 이처럼 노동집약적이고 비효율적인 기존 방제 방식은 청년층이 양봉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농촌진흥청은 인공지능 기술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