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방역

'한우암소' 사육월령 증가

축산물이력제 빅데이터 분석결과, 한우암소 번식의지 높아져 
축산물품질평가원,  한우암소 도축월령 3년전보다 2.5개월 연장
한우암소 도축마릿수 변화는 장기사육 후 도축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 증가 추세
장기사육 그룹 초과사육으로 도축월령 증가하고, 1등급 이상 출현율 감소
60개월이상 中 1등급이상 출현율 ’17.10월 28.3%→’18.10월 27.7→’19.10월 24.7로 3.6%p↓
60개월령이상 송아지 분만 수 '17.1∼10월 16만5천두→ ''19.19만두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장승진)은 한우 수소(거세우 포함)에 비해 송아지 가격, 지육가격 등에 의해 영향이 많은 한우 암소에 대한 최근 3년간 도축출하 실적 및 사육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한우 암소의 평균 도축출하 추이를 보면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3년 전에 비해 2.5개월 지연 출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암소(전체)의 평균 도축월령(’17년 1월~ ’19년 10월)은 52.4개월(’17년)에서 54.3개월(’19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우 암소의 도축형태를 조기도축 그룹(36개월 이하), 평균도축 그룹(37∼59개월), 장기사육 그룹(60개월 이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기사육 그룹에서 사육마릿수와 도축두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평균적으로 도축하는 그룹에 비해 사육두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36개월 이하그룹과 60개월 이상 그룹의 특징을 보면 도축월령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은 3년 전에 비해 0.5개월 단축되고,  장기사육 후 도축 그룹은 3.5개월 지연 도축되었다.

 

 

1등급 이상 출현율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은 미미(65.2∼65.5%), 장기사육 그룹은 3.6%p 감소(28.3% → 24.3%)하였다.

1등급 이상 경락가격 변화는 조기도축 그룹의 1등급이상 경락가격이 장기사육 그룹에 비해 평균 2,271원/kg 높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최근 3년이상 지속되는 송아지 가격 상승1) 과한우 가임암소(15개월령 이상)의 증가2) 및 한우농장의 우량암소에 대한 번식의지3)가 높아진 것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축평원 관계자는 “유전능력이 좋은 암소의 장기번식은 바람직하지만, 송아지 생산의 지속적인 증가는 장기적으로 수급불균형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어 한우농가의 저 능력 암소에 대한 현명한 선발과 도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성수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