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접종, 병ㆍ의원에서도 가능

홍보 부족으로 여전히 노인ㆍ저소득자ㆍ저학력자는 보건소로 몰려
주소지와 관계없이 보건소와 전국 2만여 병ㆍ의원에서 접종 가능
고려대 안산병원 김도훈 교수팀, 백신 접종자 2485명 분석 결과

2016년부터 65세 이상 노인은 병ㆍ의원에서도 인플루엔자(독감) 예방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게 됐지만  노인과 저소득ㆍ저학력자는 아직도 주로 보건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은 주소지에 관계없이 보건소와 전국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총 2만535곳)에서 무료 접종이 가능하다. 무료 접종 대상자는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임신부, 만 65세 이상 노인이다. 

 

 1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팀이 병ㆍ의원(전국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에서도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 접종이 시행된 첫 해인 2016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은 2485명을 대상으로 접종 장소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성인 인플루엔자 접종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 결과 65세 이상 노인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위해 여전히 보건소를 주로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은 사람의 73.4%가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노인의 보건소 접종 비율이 높은 것은 고령자의 병ㆍ의원 접근성이 낮고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 접종을 병ㆍ의원까지 확대한다는 홍보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65세 이상 노인 외에, 읍ㆍ면 거주자, 저소득자, 저학력자, 실직자, 독신자, 평소 유산소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 만성질환 환자 등이 병ㆍ의원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이 낮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인플루엔자는 사망까지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으로, 예방을 위해선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방안 중 하나가 병ㆍ의원 등 접종 장소의 확대”라고 강조했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선 무료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일반 병ㆍ의원까지 확대 시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 홍보하고, 예방 접종의 필요성ㆍ중요성 관련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영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국민 호흡기 건강, 잎들깨 식물특허 ‘숨들’로 지킨다
국내 잎들깨는 로즈마린산을 비롯한 항산화 성분과 정유 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시대 의학서 ‘동의보감’에 ‘들깻잎’이 기를 상하로 소통시키고, 기침, 천식 등을 치료한다’라는 기록도 있다. 최근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질환 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호흡기 건강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먼지로 인한 기관지 염증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개선에 효과가 있는 국산 잎들깨 ‘숨들’을 육성하고, 그 효능을 과학으로 입증했다. ‘숨들’은 ‘숨쉬기 편하게 하는 들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내 약 200종의 잎들깨 자원에서 호흡기 건강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원 56종을 1차 선발하고, 대량검정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염증 및 점액 과분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자원으로 최종 선발한 잎들깨를 식물특허로 육성했다. ‘숨들’ 잎 추출물을 미세먼지(PM2.5)로 자극한 인체 유래 비강 세포에 처리(in vitro, 세포실험)했을 때, 기관지 염증이 대조 품종(‘남천’) 대비 2.8배 감소했으며, 과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