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PR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접종, 병ㆍ의원에서도 가능

홍보 부족으로 여전히 노인ㆍ저소득자ㆍ저학력자는 보건소로 몰려
주소지와 관계없이 보건소와 전국 2만여 병ㆍ의원에서 접종 가능
고려대 안산병원 김도훈 교수팀, 백신 접종자 2485명 분석 결과

2016년부터 65세 이상 노인은 병ㆍ의원에서도 인플루엔자(독감) 예방 백신을 무료로 맞을 수 있게 됐지만  노인과 저소득ㆍ저학력자는 아직도 주로 보건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은 주소지에 관계없이 보건소와 전국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총 2만535곳)에서 무료 접종이 가능하다. 무료 접종 대상자는 생후 6개월~12세 어린이, 임신부, 만 65세 이상 노인이다. 

 

 14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고려대 안산병원 가정의학과 김도훈 교수팀이 병ㆍ의원(전국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에서도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 접종이 시행된 첫 해인 2016년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은 2485명을 대상으로 접종 장소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성인 인플루엔자 접종 장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구 결과 65세 이상 노인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을 위해 여전히 보건소를 주로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은 사람의 73.4%가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노인의 보건소 접종 비율이 높은 것은 고령자의 병ㆍ의원 접근성이 낮고 인플루엔자 백신 무료 접종을 병ㆍ의원까지 확대한다는 홍보가 부족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65세 이상 노인 외에, 읍ㆍ면 거주자, 저소득자, 저학력자, 실직자, 독신자, 평소 유산소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 만성질환 환자 등이 병ㆍ의원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이 낮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인플루엔자는 사망까지 유발할 수 있는 심각한 질환으로, 예방을 위해선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방안 중 하나가 병ㆍ의원 등 접종 장소의 확대”라고 강조했다.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선 무료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일반 병ㆍ의원까지 확대 시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적극 홍보하고, 예방 접종의 필요성ㆍ중요성 관련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영철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